경제·금융

[취업칼럼] 맞춤식 실업대책이 필요하다

실업자 100만명 시대가 도래했다. 특히 2월은 대학졸업, 건설부문 취업감소 등 계절적 요인만으로도 실업률이 높은데다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크게 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청장년층 실업급증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100만 명에 가까운 실업자 중 20대는 35만 명에 이르러 전체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4년 제 대졸자 중 절반은 취업을 하지 못했고 전문대졸자의 취업률도 지난해에 비해 6%가 떨어진 70%에 그쳤다. 이제 막 사회에 대한 부푼 꿈을 안고 대학의 문을 나섰을 이들이 겪을 좌절과 고통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 없다. 한창 가족을 부양해야 할 40∼50대의 실업은 더욱 심각해 전체의 30%를 차지하는 32만 여명이 실업의 고통을 겪고 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한 구조조정에 따른 것이라고는 하지만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이들의 앞날은 망막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경제 불황과 구조조정 등으로 국내기업의 67.2%가 올 1/4분기에 채용계획이 없다고 밝혀 실업으로 고통 받고 있는 이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이런 때 정부의 실업대책에 거는 기대는 당연히 클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가 내놓은 실업대책은 너무 단기적이어서 공공근로사업은 6개월이 지나면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내주어야 하고, 고용보험에 가입해 실업급여를 받는 경우도 6개월을 넘기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이와 같은 실업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시일이 걸리더라도 기존 제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중장기 실업대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실업대책의 방향도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구조적 실업을 해결하는 쪽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실업인구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긴 하지만, 실업 증가에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하느냐에 따라 실업률은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여기에 연령층별, 학력별, 업종별로 다각적인 실업대책을 마련, 실업자들을 인력난을 겪고 있는 산업으로 적재적소에 투입할 수 있다면 단기적으로 실업률을 끌어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인 희 (잡링크 컨설턴트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