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난해 저소득층만 자산 줄은 것으로 집계돼

소득하위 20%가구 자산ㆍ순자산 감소…나머지 계층은 증가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자산이 6% 증가했지만, 소득 하위 20% 가구는 1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초보장연구센터 김태완 연구원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저소득층을 위한 서민금융지원제도 개선방안'보고서를 보면, 작년 소득 5분위 중 최하위인 1분위 가구의 자산액은 1억 원이 채 안 되는 9,899만원으로 조사됐다.

1년 전 1억0,846만원에 비해 1천만 원이 감소한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2∼5분위 가구의 자산액은 71만∼8,660만원 늘었다.


우리 국민 전체로는 가구당 자산액이 2억9,765만원에서 3억1,495만원으로 1,730만원 증가했다.

관련기사



자산에서 부채액을 뺀 '순자산'도 1분위 가구만 9,401만원에서 8,917만원으로 줄고, 2∼5분위는 모두 늘었다. 2∼4분위 중간소득 가구의 순자산이 385만∼426만원 늘었고 상위 20% 가구는 7,498만원이나 불었다.

부채액의 경우 전체 가구는 평균 5,205만원에서 5,291만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소득 하위 20% 가구는 1,445만원에서 982만원으로 32% 급감했다.

소득 1분위 가구의 부채액은 줄었지만, 이 계층이 부채를 끌어 쓴 용도 중 '생활비 마련'의 비율은 2011년 12%에서 지난해 20%로 증가했다. 소득 2∼5분위 가구에서 생활비 마련을 위해 돈을 빌린 경우는 3∼10%에 그쳤다. 또 1분위 가구의 부채용도 중 '주택 마련' 목적은 25%로 2∼5분위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