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제민주화 바람에도… 대기업 5곳 순환출자 강화

공정위, 62개 기업집단 지분현황<br>현대차·동부·한진 3곳만 고리 약화

순환출자가 형성된 14개 재벌(대기업집단) 가운데 30%인 5개가 지난해 순환출자구조를 강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내 대기업의 순환출자 고리 가운데 절반 이상이 친기업 정책을 표방한 이명박 정부 5년간 만들어졌다. 이는 순환출자 금지를 포함한 경제민주화 정책에 역행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62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주식소유 현황'을 보면 올해 4월 초 기준으로 계열사 간 순환출자(지분율 1% 이상)가 형성된 집단은 14개로 지난해 보다 1개 늘었다. 한솔그룹이 대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된 탓이다.

한솔을 제외한 13곳 가운데 전년보다 순환출자구조가 강화된 곳은 롯데ㆍ현대ㆍ현대백화점ㆍ동양ㆍ현대산업개발 등 다섯 곳이었다. 롯데는 롯데쇼핑의 롯데알미늄 지분이 6.0%에서 12.1%로 늘었고 현대는 현대상선의 현대글로벌 지분이 19.7%에서 24.8%로 증가했다.


현대백화점은 현대에이앤아이의 현대백화점 지분이 4.1%에서 4.3%로 현대산업개발은 아이콘트롤스의 현대산업개발 지분이 2.3%에서 3.4%로 각각 늘었다. 동양의 경우 대부업체인 티와이머니를 매개로 한 신규 순환출자 구조가 형성됐다.

관련기사



반면 순환출자 고리가 약화된 곳은 세 곳에 불과했다. 한진은 한진관광을 매개로 한 순환출자 고리가 해소됐고 현대자동차와 동부는 계열사 간 지분이 일부 감소해 순환출자가 느슨해졌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해이자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5년간 신규로 형성된 순환출자는 총 9개 대기업집단에서 69개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현재 순환출자를 형성한 14개 집단 124개의 55.6%에 해당하는 것이다. 순환출자의 절반 이상이 지난 5년간 집중적으로 형성된 셈이다.

지배구조 강화를 위해 금융보험사를 동원하는 행태도 여전했다. 대기업집단 보험사의 계열사 출자금은 총 4조9,423억원으로 전년보다 1,217억원 증가했으며 보험사의 계열회사에 대한 평균지분율도 26.57%로 전년보다 2.75%포인트 상승했다. 일반 국민으로부터 걷은 보험료로 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는 폐해가 약화되기는커녕 오히려 강화된 것이다.

신영선 공정위 경쟁정책국장은 "부실 계열사 지원 방지 및 재벌 3~4세로의 편법 경영권 승계를 막기 위해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