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 대통령 "北 추가 도발시 대가 치르게 될 것"

유엔총회 참석 앞서 블룸버그와 인터뷰

핵 포기하면 국제사회와 다양한 지원

"日, 안보법안 과도해석 삼가야"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만약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도발 행동을 강행한다면 분명히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25일 출국한 박 대통령은 떠나기 전에 블룸버그 통신과 갖은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기 위해 모든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유엔에서의 다자외교를 통해 이 같은 입장을 각국 정상들에게 전달하고 북한 비핵화와 북한의 6자회담 재개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북한이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장거리 로켓 발사, 4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시사하는 등 도발 위협을 고조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북한의 무력도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박 대통령의 대북 경고는 지난주 북측의 위협 수위가 높아진 데 대한 대응 차원에서 나온 것”이라며 “전 세계 지도자들이 유엔 총회에 모이는 가운데 박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핵무기 프로그램 포기, 다자 비핵화 회담 복귀 등 압박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북한의 태도변화를 전제로 대북지원 방안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은 한국 안보에 대한 위협 요인이자 한반도 통일 달성을 위한 잠재적 동반자”라면서 “만약 북한이 핵 포기를 선택한다면 국제사회와 협조해 다양한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10월말이나 11월초로 예정된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 대해 “3국 정상이 북한 핵을 비롯한 주요 현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북한 핵 대응의 공통분모를 확대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안정을 위해 한중일이 공동으로 대응방안을 마련하면서 북한을 6자회담의 장으로 유도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박 대통령은 일본이 안보법안을 통과시킨 것과 관련, “일본 정부는 최근 통과된 방위 안보법률과 관련된 일본 국내외의 우려를 충분히 감안해야 할 것”이라며 “이 법안이 확대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 “양국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하며 양국간 교역이 감소하는 것은 모두에게 이롭지 않다”면서 “한국은 양국간 상호투자 활성화와 제3국 공동진출 등을 통해 상생관계를 강화하고 경제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국내 경제이슈에 대해서는 ▦노동시장 유연화 ▦대기업 불공정관행 시정 ▦기업지배구조 개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부패척결 ▦창업정신 고양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소개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