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볼만한 영화] ‘시몬’

스타는 어차피 하늘에 떠 있는 별처럼 잡히지 않는 먼 곳에 있다. 그럴 바에는 가상인물이어도 완벽하다면 만족스럽지 않을까? 앤드류 니콜 감독의 `시몬`(수입ㆍ배급 씨네월드)은 영화감독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완벽한 배우`를 컴퓨터를 통해 재현하고, 모든 세상사람들은 그녀가 실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는 내용의 영화다.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머지 않아 TV에 나오는 반 이상의 사람들이 사이버일 것이며, 관객들은 그들이 가짜인지 진짜인지 구별할 수 없는 날이 올 것이라는 상상을 하게 한다. “한명보다 10만명을 속이는 것이 더 쉽다”는 영화 속 감독 빅터 타란스키의 말처럼 이 영화는 앞으로 스타가 꼭 실존인물은 아니어도 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니콜감독은 일거수 일투족이 24시간 전세계에 생중계되는 한 남자의 얘기를 그린 `트루만 쇼`의 시나리오를 썼던 사람이다. 빅터 타란스키(알 파치노)는 대중적인 성공도 작품성에 대한 인정도 얻지 못한 할리우드 2류 감독. 아카데미에 두번이나 노미네이트됐지만 수상한 적은 한번도 없고 흥행에도 계속 참패에 제작사와의 재계약도 불투명해지자 빅터는 신작`선라이즈 선셋`준비에 혼신의 힘을 다한다. 하지만 문제는 여배우. 콧대 높고 까다롭기만 한 여주인공(위노나 라이더)은 촬영직전에 출연을 번복하고 제작은 중단될 위기에 놓인다. 게다가 다른 여배우들도 그와 함께 일하기를 꺼리자 절망에 빠진다. 어느날 그는 자신의 팬이자 컴퓨터 엔지니어인 `행크`로부터 유품을 전해받는다. 행크가 남긴 것은 `사이버 여배우 프로그래밍 CD`.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다양한 표정을 갖춘 사이버 여배우를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 합성을 통해 영화에도 출연시킬 수도 있다. 타란스키는 이 프로그램으로 만든 사이버 여배우 시몬(레이첼 로버츠)을 자신의 영화에 출연시킨다. 시몬은 러시아 스타일의 고전적 마스크와 남미 스타일의 섹시한 몸매와 영국스타일의 목소리로 관객들을 사로잡는다. 감독은 배우가 사이버이므로 다른 여배우와 달리 까탈스러움과 무리한 요구등이 없다. 작품을 위해서라면 누드도 불사하는 그야말로 최고의 완벽한 배우라 즐겁게 연출을 했다. 영화는 평단과 관객들로부터 폭발적인 지지를 얻게 되고 게다가 시몬에 대한 언론과 대중의 관심도 높아진다. 타란스키는 팬들과 제작사의 기대, 자신의 꿈을 위해 이 사이버 여배우를 계속 영화에 출연시킨다. 일반인들에게 실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신비의 여배우 시몬에 대한 궁금증이 날로 증폭되자 타란스키는 그녀의 존재를 믿게 하기 위해 콘서트까지 개최한다. 홀로그램을 활용해서 개최된 콘서트는 대성공을 거두지만, 이미 인기스타가 돼버린 시몬의 존재가 커지면 커질수록 자신의 영화는 시몬의 인기에 가려 좋은 평을 받지 못하는 악순환을 겪는다. “시몬은 내가 만들었어!”라는 감독은 “빅터, 시몬이 당신을 만들었죠”라는 주변사람들속에서 갈등한다. 시몬을 통해 자신의 영화를 알리고 싶었던 타란스키는 사람들에게 이 자신을 시몬의 들러리로 생각하는 것을 참지 못하고 비밀을 폭로한다. <박연우기자 ywpark@sed.co.kr>

관련기사



박연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