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리빙 앤 조이] 한방칼럼-배앓이 자주하는 아이들의 속사정

[리빙 앤 조이] 한방칼럼-배앓이 자주하는 아이들의 속사정 이범주 노원 함소아한의원 원장 최근 진료실을 찾는 아이들 중 ‘배가 아프다’는 경우가 부쩍 많아졌다. 어느 해보다도 무더웠던 올 여름, 분명 아이들은 아이스크림ㆍ청량음료와 같은 찬 것을 즐겨 먹었을 터. 더구나 아침과 낮의 기온차가 10℃ 이상 되는 요즘 감기에 걸리기라도 하면 은근슬쩍 장염까지 따라오게 마련이다. 바이러스성 장염이 유행하는 늦가을도 아닌데 벌써부터 잦은 배앓이, 장염, 만성설사가 유행하는 것은 여름철을 무방비하게 보냈던 탓이 크다. 여름에는 우리 몸의 기운이 겉으로 몰린 반면 속은 차가워져 위장의 면역력이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게다가 한증막 안에서 사람이 활동하기 어려운 것처럼 장(腸)에 습한 기운이 쌓여 장 자체가 움직이지 않고 늘어지기 쉽다. 이런 경우에는 자칫 잘못된 식생활에 의해 배앓이, 설사, 복통, 구토 등을 유발하게 된다. 평소 비위가 약하거나 위장에 열이 많은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런 이유로 여름철에는 ‘적당히 땀을 흘리며 몸을 움직여라’ ‘과도한 냉방을 피하고 여름을 즐겨라’는 잔소리가 나온 것이다. 문제는 지난 여름 장염이나 배앓이, 만성설사에 시달렸던 아이들이 지금까지 입맛을 잃는다는 것이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이라고 했다. 아이들도 좋은 영양분을 섭취해 무럭무럭 자라야 할 때다. 하지만 배앓이나 장염으로 인해 제대로 영양분을 섭취 못하고 섭취한 것도 몸 밖으로 빠져나가면 아이들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아이가 배앓이나 장염을 앓고 났을 때 엄마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 하나가 있다. 아이가 그간 잘 먹지 못한데다 구토ㆍ설사로 기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해 장염 후 기운을 보충하겠다며 기름진 음식을 먹이는 것이다. 하지만 이 때는 소화가 잘 되는 죽ㆍ누룽지 같이 부드러운 음식부터 차근차근 먹여야 한다. 위장 기능이 제 상태로 돌아오지 않았는데 기름진 음식이나 우유, 과일 주스,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다시 설사를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소화하기 힘든 현미밥보다는 성질이 따뜻하고 소화하기 쉬운 찹쌀을 섞은 흰 쌀밥이 좋다. 평소 장염이나 배앓이 예방을 위해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음식 먹기 전과 화장실을 다녀온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손을 씻을 때는 손가락 사이와 손톱 주변까지 꼼꼼히 닦은 뒤 반드시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잘 닦아야 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위장에 열이 많아서 장염에 자주 걸리는 아이들은 잘 먹지 않는다. 이런 아이들은 각각의 원인에 따라 비위를 강화하거나 위열을 내려주어 위장 활동을 돕는 것이 좋다. ▶▶▶ 관련기사 ◀◀◀ ▶ [리빙 앤 조이] 구이 요리의 재발견 ▶ [리빙 앤 조이] 세계의 구이요리 ▶ [리빙 앤 조이] 구이 골목의 재발견 ▶ [리빙 앤 조이] 한방칼럼-배앓이 자주하는 아이들의 속사정 ▶ [리빙 앤 조이] 사망요인 4위 자살 ▶ [리빙 앤 조이] '땅끝'은 해남여행의 시작일 뿐… ▶ [리빙 앤 조이] '세계로 울리는 명량의 북소리' ▶ [리빙 앤 조이] 캄보디아 시엠립-앙코르 유적과 주변 관광지 ▶ [리빙 앤 조이] 앙코르와트 명성에 가려진 수도 프놈펜 ▶ [리빙 앤 조이] 서비스드 아파트 아시아 2008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