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가계부채 '속앓이'

과소비 영향 90년이후 80%나 급증<BR>금리인상 맞물려 경제충격 우려 커져

미국의 가계부채 급증이 경제회복을 가로막는 ‘지뢰’가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급증하는 가계부채 규모도 문제지만 가계부채중 상당수가 과소비로 이어지고 있는데다, 계속되는 금리인상으로 부실화 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에 따르면 1990년 이후 미국 가계의 평균소득은 물가상승을 감안해 11%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가계지출은 30%나 늘었다. 모자란 소득을 대신해 모기지론 및 신용카드 대출을 통해 소비를 늘렸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미국 가계의 미상환 부채는 80%나 급증했다. 또 신용카드를 한 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가구당 평균 부채는 2003년 9,205달러로 5년 전보다 23% 증가했다. 문제는 미국 중산층 및 저소득층 상당수가 고소득층의 소비패턴을 쫓아가기 위해 부채를 끌어다 쓴다는 데 있다. 뉴욕대학의 조사 결과 1970년대에서 2000년대 사이 미국 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 소득격차가 크게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격차는 상대적으로 작아졌다. 저소득층이 빚을 내 소비에 나섰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도 최근 미국 소비자들이 지난 2001년에서 2002년 초 주택 리파이낸싱으로 조달한 자금 중 절반 가량을 주택보수, 자동차 구입, 휴가 등의 용도로 사용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가계부채 문제가 금리인상과 맞물려 경제에 충격을 줄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금리인상으로 가계의 부채상환 부담이 늘어날 경우 개인파산이 속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 은행감독당국은 지난 16일 일선 은행 및 대출업체들에게 금리상승에 따른 가계대출 부실화 위험을 감안해 신규대출시 심사기준을 보다 명확이 적용할 것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