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가전업체 인도시장 '싹쓸이'

한국 가전업체 인도시장 '싹쓸이' 관련기사 • 가전업계 해외공략, '현지코드'에 맞춰라 한국 가전업체들이 대표적 신흥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인도 시장을 휩쓸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의 경제일간지인 `비지니스 스탠더드'(Business Standard)는 최근 시장조사기관인 GFK 자료를 인용, LG전자가 올해 4-6월 인도내 컬러TV,냉장고, 세탁기 부문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고수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GFK 자료에 따르면 LG전자는 에어컨과 전자레인지에서도 올해 2분기 현지에서 1위를 차지, 총 5개 부문에서 1위를 달렸다. 제품별 시장점유율은 에어컨이 41%로 40% 벽을 넘긴 것을 비롯, TV 26.7%, 냉장고 29.4%, 세탁기 35.1%, 전자레인지 38.9% 등이다. 작년 연간 점유율에 비해 TV는 2.3%포인트, 냉장고는 3.4%포인트, 세탁기는 2.7% 포인트씩 각각 높아졌다. 단 전자레인지의 경우 작년 연간 점유율(41.3%)에 비해 다소 위축됐다. GFK에 따르면 삼성전자도 올해 4-6월 컬러TV와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 3개 부문에서 각각 14.4%, 16%, 18.6%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 인도내 주요 가전제품 시장에서 한국업계가 선두 자리를 석권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냉장고와 세탁기에서는 각각 11.6%, 13.4%의 현지 점유율로 4위에랭크됐다. 삼성전자의 경우 모니터와 CD롬 등 광기기에서 현지 1위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다만 오디오 부문에서는 소니와 필립스가 42.8%, 34.1%로 월등히 앞선 가운데삼성은 11.0%, LG은 5.7%의 현지 점유율을 각각 기록했다. LG전자 서남아지역대표 겸 인도법인장인 김광로 사장은 "무한한 잠재력의 나라로 일컬어지는 인도 시장의 경우 세계 유수기업들의 각축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지만 매년 주요 제품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 현지 가전시장을 리드하고 있다"며 " 철저한 현지화와 제품 차별화로 1위 품목을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2007년까지 총 1억5천만 달러를 투자, 2010년까지 인도에서 100억달러의 매출을 달성할 계획이다 인도를 `제2의 중국'으로 정하고 현지 공략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단순한물량 경쟁보다는 고급화 및 고가 전략을 통해 현지에서도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제고하는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인도 시장에서 사업 구조조정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 고부가가치제품군 위주로 사업구조를 재편했으며 앞으로도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수익성 강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브릭스'의 하나로 꼽히는 인도는 IT산업 붐 등에 힘입어 매년 7%대의 경제성장률을 구가하고 있으며 2035년께는 경제규모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입력시간 : 2005/08/18 08:5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