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울산 자유무역지구 지정 차질

정부화 협의 지연·타당성 검증 못받아

울산시가 추진중인 자유무역지구 지정이 정부 관련 부처와의 협의 지연과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해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이 때문에 대형 기간 산업체들의 탈울산이 가속화되고 기업유치는 갈수록 줄어들어 산업수도 울산의 명성 회복이 헛구호에 머물 공산이 커지고 있다. 30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울산시 울주군 온산읍 청량면 일대 76만평 가운데 40만평을 자유무역지구로 지정하기 위해 울산시는 지난 2년전부터 정부 관련부처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현재 각 지자체들은 기업유치에 절대 유리한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받기 위해 앞다퉈 나서고 있고, 이미 부산, 광양, 인천 등이 경제자유구역청을 설치, 대대적인 기업유치에 나서고 있다. 울산시는 그러나 낙동강환경관리청과는 사전 환경성 검토 미흡 등으로 허가를 얻지 못해 아직 기본 설계조차 착수하지 못했고, 산업자원부와는 자유무역지구 지정에 가장 중요한 기업수요 예측과 신산업단지 조성 타당성을 검증 받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시는 정부가 수천억원을 들여 울산 일대 부지를 매입, 저렴한 가격에 땅을 장기 임대하는 자유무역지구로 지정토록 해 기업 탈울산 방지는 물론 본격적인 기업유치로 산업수도 명성을 되찾을 수 있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 2년여 동안 전혀 진척을 보지못해 대책마련에 크게 부심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내달 초 낙동강환경청과 신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협의를 재개, 늦어도 올해안으로 기본설계는 마무리 짓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지역경제계는 “자유무역지구는 저렴한 부지가격 뿐만 아니라 수출입 원자재의 관세가 유보되고 각종 세제혜택까지 주어지는 등 특히 수출기업유치에 절대 유리하다”며 “울산시의 발 빠른 대응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울산시 관계자도 “자유무역지구 지정은 지역경제 부흥에 가장 시급한 현안”이라며 “올해 중으로 기본안 확정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