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또 내분 휩싸이나

[여야내부갈등] 7월 전당대회론·책임당원제 싸고 티격태격

한나라당이 행정도시법에 이어 조기전당대회론ㆍ책임당원제 등을 놓고 또 다시 내분을 겪을 조짐이다. 크게 당권파와 소장파, 수투위간 갈등구조다. 수투위는 장외투쟁을 통한 정치세력화를 모색중이며 소장파는 ‘개혁 부진시 중대결심’을 다짐하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당권파는 정면돌파해 나갈 생각이다. 한나라당 혁신위원회(위원회 홍준표)에 이어 개혁성향의 소장파 의원모임인 ‘새정치수요모임’이 7월 조기전당대회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수요모임은 현재 한나라당이 박근혜 대표 중심의 1인 지배체제가 굳어지고 있다며 집단지도체제 도입 위한 전당대회를 7월에 개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혁신위도 당의 근본적인 변화를 담은 새 당헌을 마련하고 있는데 기존 당헌ㆍ당규에 따라 선출된 지도부가 계속 당을 맡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에 7월 전당대회를 통해 지도부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조기전당대회 개최 요구를 받아들일 기색이 전혀 없다. 박근혜 대표는 이미 ‘조기전당대회 반대, 재신임 불가’ 입장을 밝혔다. 김무성 사무총장도 “박 대표가 이미 당권ㆍ대권 분리 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의 명분이 뭔지 알 수 없다”며 혁신위와 수요모임의 요구를 일축했다. 책임당원제는 당내 갈등의 새로운 불씨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시도당에 당원협의회 구성을 위해 5월까지 책임당원을 확보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명분은 다음달 보궐선거. 내년 지자체선거 등에서 활동할 ‘손과 발’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반박(反朴)’ 진영에서는 그 배경을 의심하고 있다. 박 대표는 ‘박근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강력한 네티즌팬을 가지고 있어 이들이 대거 책임당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당비를 납부하는 책임당원은 대선후보를 결정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박 대표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제도라는 것이다. 수요모임이 27일 워크숍에서 “투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책임당원과 일반당원으로 당 구조를 이원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입장을 모은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행정도시법 통과에 반대하는 ‘수도분할반대 투쟁위원회’와 당 지도부와의 갈등도 아직 진행형이다. 수투위는 원외세력과 연대해 범국민운동본부를 발족하는 등 당 밖으로 활동 폭을 넓혀가고 있다. 수투위의 핵심인사인 김문수 의원은 “한나라당이 야당구실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우리는 구체적인 정책과 실천력을 갖고 있으면서 수도분할에 반대하기 때문에 파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해 정치세력화 가능성도 내비쳤다. 특히 범국민운동본부에 한나라당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 온 보수세력들이 가담하고 있다는 점이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