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위기때 빈곤층 3분의1 "10년 지나도 그대로…"

"가구주 담배 피울수록 절대빈곤 확률도 높아"

외환위기 당시 빈곤층이었던 가구의 3분의1은 10년이 흐른 후에도 여전히 빈곤층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가구주가 담배를 피울수록 빈곤의 확률이 높다는 연구 분석 결과도 나왔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 교수는 29일 한국은행이 발간하는 ‘금융경제연구’에 실린 ‘경제성장과 사회후생 간의 관계’ 논문에서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1997~2006년 연령, 성별, 가구원 수, 학력, 건강, 음주ㆍ흡연 여부 같은 가구(주)의 특성과 빈곤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빈곤층이었던 가구 가운데 32.5%는 2006년에도 빈곤층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빈곤층이 아니었다가 빈곤층으로 전락한 가구는 12.3%였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은 1997년 5.44배에서 2005년 4.43배까지 낮아졌다가 2006년 4.47배로 조금 높아졌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해진다는 뜻이다. 분석에서는 건강 문제와 빈곤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결과도 포함됐다. 가구주의 흡연 여부는 가구 소득이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절대빈곤과 상관관계가 뚜렷한 양(+)의 값으로 나타났다. 담배를 피울수록 절대빈곤 상태에 놓일 확률(한계효과)도 크다는 얘기다. 반대로 건강상태는 절대빈곤과 상관관계가 음(-)의 값을 보였다. 음주 여부는 절대빈곤과 비교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조사기간 내내 절대빈곤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항상 절대빈곤’과는 통계적 의미가 떨어졌다. 또 15세 이하와 60세 이상의 피부양 가구원이 많을수록, 가구주가 여성일수록, 가구주의 학력이 낮을수록 절대빈곤과 상관관계가 두드러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