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발전 파업손실 100억 넘어서

회사측, 노조·조합원 상대 가압류신청발전회사는 지난달 25일 이후 발전노조의 파업으로 생긴 경제적인 손실 규모가 1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발전노조 및 노조간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 절차에 착수했다. 또 조합원이 11일 오전 9시까지 복귀할 경우 징계를 최대한 경감해주기로 했다. 10일 5개 발전회사에 따르면 회사별로 파업에 따른 손해배상 채권보전을 위한 가압류신청을 발전산업노동조합과 노조 핵심간부 52명을 상대로 지난 9일 법원에 낸것으로 확인됐다. 신청금액은 62억2천500만원이며, 가압류 대상물건에는 발전노조 예금과 해당 조합원의 급여 및 퇴직금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발전회사는 이와 관련, 파업 12일째인 지난 8일 현재 파업 손실이 고가연료 사용 등에 따른 전력거래 손해비용이 84억2천만원인 것을 비롯, 비상근무 수수료 5억2천만원, 대체인력 인건비 4억4천만원 등 모두 104억8천400만원으로 집계했다. 발전회사 관계자는 "파업에 따라 경제적인 운전이 어려워지고 대체인력을 투입하면서 손해 규모가 많은 날은 하루 10억원이 넘는다"면서 "하루 평균 손실액이 8억7천만원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발전회사는 또 이날 오전 11시 명동성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11일 오전 9시까지 직장에 출근하는 경우에는 징계를 최대한 경감하고 사법당국에도 선처를 요청할 예정"이라며 복귀를 호소했다. 발전회사는 2차로 고소한 198명에 대해 11일 오전 첫 인사위원회를 열기로 했지만 희생자 최소화를 위해 2차례의 소명기회를 추가로 줄 계획이다. 또 조장급 250여명에 대해 고소 및 징계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이번 파업에따라 사측에 의해 고소된 조합원은 500여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발전회사는 이날 오후 현재 복귀인원이 전체 5천609명 가운데 16.7%인 934명인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노조는 8일 오후 9시 현재 파업 미참여자가 214명(무단 146명, 질병 46명, 경조사 18명, 출산 4명)으로 집계한 반면 같은 시점에 사측은 복귀인원이 617명에 11.0%로 집계, 노조와 큰 차이를 보였다. 발전회사측은 이에 대해 "인터넷 복귀신고센터의 신고 집계에 일부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 같아 유선으로 본인 의사를 확인중"이라고 밝혀, 사측 집계에 일부 허수가 포함돼 있음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