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평채 금리 급등

2014년만기 금리 미국 국채보다 1.03%P 높아<br>기업·은행등 해외시장서 자금 조달 애로


글로벌 시장의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심해지면서 우리 정부와 은행ㆍ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3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현재 주로 유통되는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은 대부분 발행 이후 가장 높은 가산금리(가치하락)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21일 현재 2014년 만기 외평채 금리는 미국 국채 금리보다 103bp(1.03%포인트)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본격적으로 불거지기 직전인 7월 초의 62bp와 비교해 41bp나 급등한 것이며 2004년 이 채권이 발행된 이후 최고 수준이다. 2025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도 130bp까지 올라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으며 2013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도 연초보다 60bp 이상 뛴 125bp에 이르고 있다. 아울러 국내 채권 발행자의 부도위험 정도를 반영하는 신용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도 2004년 이후 최고 수준에 달해 조달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의 5년 만기 CDS 프리미엄은 21일 현재 56bp로 서브프라임 1차 충격이 있었던 7월 말 기록한 기존 최고치 40bp를 넘어섰다. 우리은행의 5년 만기 CDS 프리미엄도 19일 기준 100bp까지 폭등한 상태다. 이는 7월 초의 16bp보다 84bp나 높은 수준이다. 산업은행과 국민은행의 5년 만기 CDS 프리미엄도 각각 66bp와 64bp로 7월 초보다 51bp, 48bp가 올랐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