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로지틱스 대기업부문 대상] 현대상선

컨·LNG선등 '종합해운' 최대강점

물류산업은 기업환경이 과거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분야다. 고객이 요구하는 물류운송 형태는 점점 복잡해지고 선박은 대형화하면서 서비스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도 전면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해운업계의 ‘국가대표’격인 현대상선(대표 노정익)은 그간 지속적인 내부 혁신과 변화 관리를 통해 이 같은 대내외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부응해왔다. 무엇보다 현대상선의 최대 강점은 세계 해운업계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다양한 포트폴리오. 주력분야인 컨테이너선 사업부문 외에 LNG선, 유조선, 벌크선 등 다양한 선박으로 화물을 수송하는 종합 해운회사다. 세계의 해운회사들이 컨테이너선, 유조선, 벌크선, 전용선 등 어느 한 부분에 특화시켰지만 현대상선은 컨테이너와 비컨테이너 부문이 6대4의 비율로 구분돼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부문의 호ㆍ불황에 영향받지 않고 안정된 수익을 실현하고 있다. 컨테이너선 부문의 경우 지난 1985년 아시아-북미간 컨테이너선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현재 아시아-미주, 아시아-유럽, 아시아 역내 간 등 전 세계를 거미줄망으로 연결하는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선종도 1,000TEU급 소형선박에서 6,500TEU급까지 다양화시켰다. 특히 1998년부터 세계 최고 수준의 해운선사인 미국의 APL사, 일본의 MOL사와 함께 전략적 제휴체제인 ‘뉴월드 얼라이언스(The New World Alliance)’를 구축,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 독보적인 1위를 구축하고 있는 유조선 부문은 특히 선령이 4~10년에 불과한 최신 유조선과 효율적인 운항관리로 질적 측면에서 우월적 경쟁력을 확보했다. LNG선 사업부문은 이미 향후 20년 이상 장기수송계약이 체결된 상태여서 현대상선의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이같은 이상적 사업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재무건전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박의 적기투자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컨테이너선 및 유조선을 중심으로 31척의 선박을 발주하고 최근 한국 해운업계 사상 최초로 9,000TEU 시대를 선도할 8,600TEU급 컨테이너선을 발주했다. 현대상선 노정익 사장은 “올해 약 5억4,000만 달러를 선박과 그 밖의 기기 및 IT부문에 투자할 계획”이라며 “지속적인 투자와 개선을 통해 올해 경영목표를 매출액 49억 6,300만달러, 영업이익 6억4,900만달러 등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사상 최대실적을 낼 계획”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