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KAIST 이효철ㆍ김상욱 교수, 英왕립화학회 학술지 게재

KAIST는 화학과 이효철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가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화학분야 저명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 신진과학자 특집호에 지난7일자로 초청논문을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즈는 화학분야 3대 학술지로, 이번 특집호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이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연구업적을 내고 있는 140여명의 신진과학자들을 초청했다. 초청된 과학자중 국내에서는 KAIST 이효철 교수와 김상욱 교수만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이효철 교수는 이 초청 논문에서 인간의 근육에서 산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미오글로빈 단백질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구조가 변하는지를 규명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단백질의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되면 질병 관련 단백질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상욱 교수는 탄소나노튜브에 생광물화 기술을 적용한 신개념 나노기술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유기물이 아닌 질소가 도핑된 탄소나노튜브에서도 생체석화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이를 통해 손쉽게 나노미터 두께의 광물박막이 입혀진 신개념의 고기능성 나노복합재료를 합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러한 나노복합재료를 이용하면 태양전지나 2차전지의 성능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KAIST 화학과 유룡 특훈교수는 “이번 초청논문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충분한 연구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을 국내외에 알린 계기”라며 “앞으로 국내연구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