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변동성지수선물·지수옵션, 위험관리수단 활용 증가

기관 투자가들이 위험관리수단의 목적으로 변동성지수선물과 주식옵션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17일 상장된 변동성지수선물의 미결제약정 보유수량이 상장 첫날 98계약에서 21일 157계약으로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미결제약정 보유수량은 투자자가 변동성지수선물을 위험관리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보유했다는 의미로, 위험관리 수요자의 시장 참여를 뜻한다.

관련기사



류제권 한국거래소 주식파생개발팀장은 “기존 코스피200옵션 투자자들이 위험관리 목적으로 변동성지수선물을 활용하기 시작했다”며 “이를 통해 거래 개시 1주일 만에 기관투자가의 위험관리수단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기관을 중심으로 미결제약정 보유수량은 늘었지만 변동성지수선물의 거래량 자체는 상장 이후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상장 첫날 238계약이었던 거래량은 지난 21일에 72계약으로 줄었다. 이 기간 누적 거래량은 총 665계약이며, 일평균 거래량은 133계약이다.

한편 주식옵션은 제도 개선 이후 첫주(17∼21일) 일평균 거래량이 2,403계약으로 집계됐다. 이는 헤지·차익거래가 가능한 수준으로 여겨지는 기준치(2,000계약)를 웃도는 수준이다. 10개 종목 가운데 현대차와 LG전자의 거래가 각각 일평균 843계약과 655계약으로 가장 활발했다. 투자자가 주식옵션 포지션을 지속적으로 보유하면서 헤지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주식옵션의 미결제약정도 지난 17일 1,921계약에서 21일 9,257계약으로 크게 늘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