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첫직장이 ‘1년이하 계약직’청년…4년새 60%↑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청년층 고용의 질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 첫 직장을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시작하는 청년층의 수가 4년 만에 60% 가까이 급증한 반면 계약기간이 1년보다 긴 일자리를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의 수는 60% 감소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학교 졸업 혹은 중퇴 후 처음으로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의 수는 2012년 기준 80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2008년 50만5,000명보다 59.0%나 늘어난 수다.

반면 계약기간이 1년보다 긴 일자리를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은 같은 기간 28만7,000명에서 11만6,000명으로 59.6% 감소했다.

정규직 등 계약기간이 따로 없이 계속 근무 가능한 직장에 취업한 사람도 285만2,000명에서 252만명으로 11.6% 줄었다.


청년층의 취업은 질적으로만이 아니라 양적으로도 후퇴했다.

관련기사



만 15∼29세 졸업ㆍ중퇴후 취업 유경험자의 총수는 451만3,000명에서 402만8,000명으로 4년만에 10.8% 감소했다.

직업별로는 사무직을 첫 직장으로 삼은 청년의 수가 21만6,000명 줄어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고, 관리자ㆍ전문가(12만명), 기능기계조작종사자(6만7,000명) 등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서비스ㆍ판매 종사자는 118만1,000명에서 116만9,000명으로 거의 줄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장기화ㆍ고착화할 경우 한국의 성장잠재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신동엽 간사는 “고용이 불안정해져 소비가 위축되면 경기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서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정규직 채용을 늘려 소비를 진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