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자재펀드도 수익률 비상

최근 일주일새 모두 마이너스 기록<br>대부분 올들어 설정…만회 힘들듯


원유를 비롯한 상품선물 가격이 급락하면서 해외 원자재에 투자하는 펀드의 수익률에도 비상이 걸렸다. 원자재 관련 펀드들은 지난 5월 원자재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인기몰이를 했으나 다시 국제유가와 금 가격이 하락하면서 반대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12일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에 따르면 국내 운용사의 원자재펀드는 최근 들어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우리CS운용의 ‘우리Commodity인덱스플러스 1-A’의 경우 최근 일주일 수익률이 -1.79%로 부진했다. 또 금ㆍ알루미늄ㆍ밀ㆍ옥수수 등 36개의 실물상품을 기초로 만든 ‘로저스 인터내셔널 인덱스 지수(RICI)’의 등락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설계한 미래에셋맵스자산운용의 ‘로저스Commodity인덱스파생상품 1ClassB’의 수익률도 -1.29%를 기록했다. 원자재 관련 하위펀드에 분산 투자하는 재간접펀드(펀드오브펀드)인 한국운용의 ‘한국월드와이드원자재종류형재간접V- 1(A)’ 역시 -0.81%로 마이너스 수익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해외 운용사들의 원자재펀드 역시 최근 들어 수익률이 급락하고 있다. 모닝스타에 따르면 메릴린치의 ‘뉴에너지펀드’가 최근 일주일 동안 -3.32%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월드에너지펀드’ -2.99%, 월드마이닝펀드 -2.54%, 월드골드펀드 -1.24% 등 메릴린치의 원자재펀드 시리즈가 모두 그동안의 수익을 까먹었다. 물론 해외 운용사 원자재펀드의 경우 설정기간이 길어 장기 수익률은 아직 좋은 편이다. 글로벌 상품 가격 랠리가 최근 5년간 이어져온 데 힘입어 메릴린치 월드에너지펀드의 3년 수익률은 155.69%에 달한다. 하지만 이 같은 상품 가격 랠리가 끝났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수익률이 낮아질 공산이 크다. 특히 국내에서 출시된 원자재펀드의 경우 대부분 올 들어 설정돼 장기로 가져간다고 해도 수익률 만회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에너지 자원이 아닌 기타 농산물의 경우에는 전망이 비교적 밝기 때문에 에너지 및 귀금속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고 농산물 비중이 높은 상품은 괜찮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