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국 진출 기업 고임금에 운다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노무비가 지난해보다 10%이상 늘어나 기업 경쟁력이 약화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노무환경 변화와 재중 국내기업의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올해 임금·사회보험·복리후생비를 포함한 노무비를 지난해와 비교한 질문에 ‘10%이상 늘었다’고 응답한 기업이 71.0%에 달했다. 20%이상 증가했다는 기업도 15.2%나 됐다. 작년에도 노무비가 10%이상 늘었다는 기업이 73.2%나 된 것을 보면 최근 중국 내 노무비 상승이 가파르게 이뤄지고 있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중국정부가 최저임금을 평균 22%이상 올렸고 지난해 10월 북경부터 시행된 외국인 사회보험 가입의무화 등으로 복리후생비가 증가하면서 노무비 부담이 크게 늘고 있다”며 “중국정부가 2015년까지 연평균 13%이상의 최저임금 인상을 계획하고 있어 노무비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무비의 급격한 상승은 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노무비 상승에 따라 61.4%가 ‘경쟁력이 약화됐다’, 15.8%는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답했다.

노무비 상승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기업들은 ▦품질개선 등을 통한 내수확대(23.8%) ▦자동화 등 생산시스템 개선(17.7%) ▦제품단가 인상(14.3%)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전환(12.8%) ▦현지인 고용확대 등 인력구조 조정(11.9%) 등을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저임금 국가로 이전(5.1%), 중국내 저임금 지역 이전(3.6%), 한국으로 U턴(2.6%) 등의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오천수 대한상의 북경사무소장은 “변화하는 중국 노무환경 아래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임금부담을 상쇄하고 수용할 수 있는 부가가치 제고방안과 내수확대를 위한 유통망 및 브랜드 파워 등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고, 핵심인력을 채용하고 유지할 수 있는 인력관리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박태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