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층진단] 용인일대 난개발 현황

금융비용·미분양 등으로 업체·주민들만 큰 피해『용인이 이런 곳인줄 알았다면 분양을 받지 않았을 겁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도록 용인시는 뭘하고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는 5월 경기 용인시 수지2지구 주공아파트 입주를 앞두고있는 전상철씨의 말이다. 단지내에 학교가 없어 매일 왕복6차선의 국도를 위험하게 건너는 아이들. 그나마 「목숨을 걸고 간」 학교는 공사장이나 마찬가지다. 아랫층에서 공부를 하고 윗층은 미처못한 공사를 마무리하느라 어수선하다. 분당과 서울 강동지역을 잇는 수서~장지간 고속화도로 입구는 이른 아침부터 인근지역에서 꾸역꾸역 몰려드는 차들로 장사진을 이룬다. 대규모 아파트촌으로 변하고 있는 용인일대 난개발의 현주소다. 지역주민들은 한결같이 용인일대의 난개발이 어느 한쪽의 책임이 아닌 정부, 지자체, 주택업체의 합작품이라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르도록 마땅한 계획은 물론 원칙조차없이 사업승인을 내줬고 건설교통부등 관계부처는 「소관사항이 아니다」며 팔짱만 끼고 있었다. 업체들은 이윤추구에만 급급해 마구잡이로 아파트를 지었다. 그리고 그 잘못의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이 떠안았다는 이야기다. 난개발 문제는 정부와 지자체들의 근시안적 행정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 도시계획은 한번 무너지면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런 점을 뻔히 알면서도 체계적·장기적 계획없이 재정수입·지역경제 활성화등 당장의 효과에만 치중, 마구잡이로 사업승인을 내주다가 문제가 심각해지자 갑자기 사업승인을 보류·중단했다. 이는 「일단 벌려놓고 문제가 생길경우 금지하면 그만」이라는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으로 이로인해 업체들과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고있는 셈이다. 업체들도 난개발의 「부메랑」 효과를 톡톡히 경험하고 있다. 용인·파주·광주·김포등 지자체들이 신규사업승인을 중단하면서 이 일대에 아파트 사업을 준비중이던 업체들의 발이 묶여 버린 것. 용인에서 4,000여가구의 아파트 공급을 계획했던 H사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시의 도시계획이 수립될 때까지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다』며 『사업이 지연되는 동안 수십억원의 금융비용을 부담해야 할 판』이라고 말했다. 파주에서 올해 1만여가구의 대규모 아파트 분양을 추진했던 B사 역시 사업이 잠정 중단된채 시간만 보내고 있다. 부메랑 효과는 이미 분양한 아파트에도 미치고 있다. 난개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수요가 자취를 감춰 업체들마다 미분양물량이 쌓여가고 있다. 분당 정자동에 있는 H사의 용인 상현리 아파트 모델하우스안에서는 손님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직원들만 한가하게 앉아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 회사 분양담당자는 『계약은 물론이고 요즘엔 그나마 「구경」하러 오는 손님 발길도 끊겼다』며 『도대체 어떻게 판촉을 해야할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인근 S·K사의 모델하우스도 마찬가지. 모델하우스앞에 진을 치던 이른바 「떴다방」들 마저 자취를 감춰 을씨년스럽기조차 하다. 난개발의 「수혜」가 불과 몇달만에 엄청난 손실로 되돌아오고 있는 상황이다. 정두환기자DHCHUNG@SED.CO.KR 입력시간 2000/03/19 20:08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