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동차/겨울철 차량 관리요령] 부동액.배터리등 수시점검

◇냉각수=겨울철에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하는 부분. 라디에이터의 냉각수가 자칫 얼면 운행이 불가능하다. 심지어 냉각수 결빙으로 엔진 실린더 벽에 균열이 생길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부동액을 넣는 것. 부동액과 물의 혼합비율은 절반 정도씩. 교환 방법은 라디에이터 내부에 있는 물을 빼고 부동액을 넣은 뒤 나머지를 물로 채우는 것. 새로 출고된 차량에는 사계절 부동액이 혼합돼 있어 2년정도 교환하지 않아도 되지만 점검은 필수.◇타이어=겨울철 도로는 결빙이나 눈 때문에 미끄럽다. 이 때문에 타이어 관리는 필수 요건. 미끄럼 방지책은 스노타이어와 스노체인 2가지. 스노타이어는 눈길에서 접지력이 뛰어나지만 눈이 없는 빙판도로에서는 별 효과가 없다. 따라서 비상사태 때 쇠사슬로 된 스노체인을 준비하는 게 효과적. 체인은 후륜구동일 경우 뒷바퀴, 전륜구동일 경우 앞바퀴에 감아야 한다. ◇배터리=배터리 성능과 휘발유의 기화현상이 떨어지는 탓에 출퇴근길에 시동이 걸리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핸들 앞에 있는 점검창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항상 점검해야 한다. 초록색이면 정상이고 흰색이면 충전부족, 빨간색일 경우 방전됐다는 의미. 충전이 부족할 때는 전해액을 보충해주고 방전시에는 배터리를 바꿔야 한다. 또 방전됐을 때 다른 차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부스터 케이블을 갖고 다니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한 일. ◇LPG차량=LPG 연료가 얼어붙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동을 끌 때 주의해야 한다. 기온이 낮을 때 바로 시동을 끄면 호스에 남은 LPG 연료가 얼어붙어 다음날 시동이 잘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동을 끝때는 반드시 LPG 연료 버튼을 눌러 연료공급관 속의 가스를 완전히 연소한 뒤 엔진이 꺼지면 시동을 끈다. ◇기타=차체에 왁싱을 잘 해두면 눈이 내려도 얼어붙지 않는다. 또 양지 바른 곳이나 지하 주차장에 주차하는 게 냉각수 결빙 방지나 배터리 수명 연장에 좋다. 김기성기자BSTAR@SED.CO.KR

관련기사



김기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