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출범 10년 ETF시장 갈 길 멀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시장이 오는 14일로 출범 10년을 맞는다. ETF는 코스피지수나 금처럼 특정 자산의 수익률을 따르도록 설계된 펀드로 낮은 거래비용과 양호한 수익성을 앞세워 새로운 대체투자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입 첫해 4개에 불과했던 종목은 지난달 말 129개로 늘어났고 순자산 총액도 3,400억원에서 13조원대로 불어났다. 대량환매에 시달리는 주식형펀드와 달리 증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내고 있는 셈이다.


ETF시장이 단기간에 급팽창했다지만 특정종목 위주의 편중현상이나 취약한 수급기반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등 파생상품형 ETF에만 거래가 몰리다 보니 증시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투기장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파생상품 ETF의 경우 거래가 간편해 회전율이 일반 주식의 10배를 웃돌 만큼 극심한 단타매매가 이뤄지고 시장교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위 자산운용사들이 시장의 절반을 독점하는 것이나 기관투자가의 외면으로 수급기반이 여전히 취약한 것도 질적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남아 있다.

관련기사



한국거래소가 때마침 쏠림현상이 심한 레버리지 ETF의 신규 상장을 제한하는 등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나서 일단 기대를 모은다. 국제금융시장에서도 이미 투기성이 강한 ETF의 상장을 원천 봉쇄하는 등 규제책이 논의되고 있다. 다만 일방적인 규제 차원을 벗어나 다양한 신상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기관투자가들의 참여를 늘리는 등 과감한 투자유인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투자자 보호와 위험관리 강화 등 시장활성화 방안도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 ETF 관련정보의 공개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담보물 적격요건을 강화한다면 투자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ETF에 거래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시장 자체를 고사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ETF시장은 저금리 현상과 베이비부머의 투자열기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 성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ETF시장이 투자자 보호와 건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장기적인 투자대안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