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연기금 "이머징마켓 투자 확대"

"지출 많아 안전투자 한계 고수익 전략으로 선회"


수익 악화로 전전긍긍하고 있는 세계 최대 연기금인 일본 정부연금투자펀드(GPIF)가 이머징마켓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해마다 노동인구는 줄어들고 노년층은 늘어나는 가운데 향후 의무적으로 지불해야 할 금액이 쓰나미처럼 밀려와 더 이상 안전 중시 투자 경향을 고수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GPIF는 현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비율을 수정하고 조만간 자산 매각에 나설 예정이다. 2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타니 다카히로 GPIF사장은 "향후 4~5년간 일본 연기금의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상황에 놓일 것" 이라며 " 국내 시장 위주로 투자했던 것에서 벗어나 신흥국 주식시장으로 투자 방향을 옮기는 등 고수익 전략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GPIF의 자산 운용 액은 123조엔(1조4,000억 달러)으로 세계 최대규모로 미 최대연기금인 캘퍼스(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 운용액 2,000억 달러 보다 6배 많다. 그러나 GPIF는 일본 채권과 주식에 주로 투자해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지 못해 수익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실제로 GPIF는 2009년 내내 분기 흑자를 냈던 반면 2010년 1ㆍ4분기에 4조엔 달러 규모의 투자 손실을 봤다. 보수적인 투자방침을 고수한 결과다. 현재 GPIF는 자산의 67.5%를 저수익 일본 국채나 회사채에 투자하고 있고 ▦12%를 일본 주식 ▦10.8%를 해외주식 ▦8.3%를 해외 채권에 투자하는 등 국내시장투자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여기에 빠른 인구 고령화 추세로 GPIF의 지출 규모가 해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 수익률을 제고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일본총무성에 따르면 현재 전체 일본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21%를 차지하며 오는 2055년이 되면 일본인의 40%가 65세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GPIF는 2011년 3월까지 4조엔의 자산을 매각하고 투자 방향을 다각화에 인구 고령화에 따른 지출 증가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그 동안 전문가들은 GPIF가 고위험 ㆍ고수익 자산에 투자하거나 싱가포르의 국부펀드인 테마섹과 같은 형태를 유지해 공격적 투자를 감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니코애셋메니지먼트의 존 베일 글로벌 투자전략가는 "GPIF가 수익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좀 더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며 "글로벌 주식시장, 특히 저평가된 국가의 주식은 GPIF에 있어 똑똑한 투자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타니 회장은 "이머징 국가로의 투자를 고려하고 있지만 중국과 같은 한 국가에 투자를 집중하는 일은 없을 것" 이라며 "다양성 또한 원칙이기 때문에 이머징마켓에 투자한다면 여러 곳에 분산 투자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