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야합연대 오기" "검찰 수사 못믿어"

■ 대정부 질문 첫날… 특검 도입 싸고 또 격돌<br>여 강 의원 몸싸움 비판 발언에<br>민주당 항의 표시로 전원 퇴장

여야가 대정부 질문에서 특별검사 임명 등을 놓고 또다시 격돌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 이후 특검 도입 여부를 둘러싸고 대치한 여야가 이번에는 상대방의 책임론을 내세우면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원혜영 민주당 의원은 19일 국회 정치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국민들은 편파 수사, 봐주기 수사, 짜맞추기 수사로 얼룩진 검찰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는다"며 "사건을 명백히 밝히기 위해서는 특검 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특검 도입을 주장했다.


원 의원은 또 정홍원 총리를 향해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을 해결하기 위해 이명박 전 대통령 등 전임 정부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몰아붙였다.

정 총리는 이에 대해 "범죄 혐의가 있다면 검찰이 엄정하게 수사하리라고 보고 성역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답변했다. '성역 없는 수사'를 내세운 민주당의 특검 도입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정 총리는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에게 국기문란 사태의 책임을 물어 해임을 건의할 생각이 있느냐"는 원 의원의 질문에 "대통령 직속 기관의 장에 대한 해임건의는 제가 관여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의 특검 요구 주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노철래 의원은 "박근혜 정부는 국가기관에 대선 개입을 요청한 바 없다. 지난 정권에서 한 일을 지금 정권에 연계해 매도하는 것은 대선패배의 분풀이"라며 "특검 주장은 신 야합연대의 오기에 불과하다"고 민주당 주장을 일축했다.

노 의원은 이어 "전 국정원 직원이 내부자료를 민주당에 넘긴 기밀유출사건으로 봐야 한다"며 "민주당의 대선공작을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말해 오히려 화살을 민주당에 겨눴다.


오후 시작된 대정부 질문에서도 여야의 설전은 이어졌다. 이우현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대정부 질문에서 강기정 민주당 의원과 청와대 경호 직원 간의 몸싸움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민주당 의원들이 격한 반응을 보여 질문을 마치지 못하고 연단을 내려왔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 의원들은 이 의원의 발언에 항의의 표시로 모두 퇴장하는 등 대정부 질문은 파행을 겪었다.

관련기사



민주당은 이날 오후 또 남 원장을 비롯해 황교안 법무부 장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에 대한 해임촉구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무위원 등의 자리를 정치적 흥정물로 생각하는 야당 권력의 오만한 발상"이라며 "민주당이 공직의 무거움과 책임을 절반만큼이라도 생각한다면 이렇게 가벼운 해임안을 남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대정부 질문은 시작부터 민주당 의원들의 지각 출석으로 지연됐다.

민주당이 의원총회를 진행한 후 전병헌 원내대표 등이 강창희 국회의장실을 들러 전날 발생한 강기정 의원에 대한 청와대 경호실 직원의 집단 폭행 사건에 국회 차원의 대응이 없었던 점을 놓고 항의하면서 등원이 지체됐다.

결국 당초 여야 합의로 오전10시부터 시작할 예정인 대정부 질문이 민주당의 지각 출석으로 당초보다 1시간 이상 지연된 11시15분께 시작된 것이다.

한편 강 의장은 오후 대정부 질문 속개에 앞서 "어제 대통령 시정연설이 끝난 직후 국회 본청 앞에서 강기정 민주당 의원이 청와대 경호 관계자들로부터 물리적 제재를 받는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다"며 "깊은 유감을 밝힌다"고 말했다.

강 의장은 "어제 일은 물론 돌발적으로 발생했지만 어떤 경위에서든 국회 관내에서 현역 의원에게 물리적 제재를 가했다면 잘못된 일"이라며 "청와대 측은 사태의 경위를 파악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