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올해 공공비축미곡 12만4,000톤 매입

전남도는 2015년산 공공비축미곡 12만4,000톤을 연말까지 매입한다고 30일 밝혔다. 전남에 배정된 포대벼는 전국 38만8,000톤의 29%인 11만1,000톤이며, 산물벼는 전국 11만2,000톤의 12%인 1만3,000톤이다.

매입 기간은 산물벼는 다음달 14일까지며, 포대벼는 10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다.


시군 물량 배정은 농림축산식품부 배정 기준인 2014년 공공비축미곡 매입실적 90%, 농업진흥지역 면적 10%를 적용한다.

관련기사



매입가는 포대벼의 경우 통계청에서 조사한 올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평균 산지 쌀값을 조곡(40kg)으로 환산한 가격이며, 산물벼는 포대벼 매입 가격에서 포장비용(40kg당 849원)을 차감한 가격이다.

이번 매입은 산지 쌀값이 결정되기 전에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우선 지급금 5만2,000원(1등품 40kg 기준)을 지급하고, 나머지는 2016년 1월 최종 가격 결정 후 정산해준다.

매입 규격은 포대벼의 경우 40kg과 80kg 단위로 반드시 규격 포장재에 담아야 하고, 품위는 농산물검사기준인 벼 검사규격을 적용해 수분이 13.0∼15.0%로 건조된 벼만 매입한다. 특히 수분이 13.0% 미만인 경우 두 등급을 낮춰 합격 처리된다.

박경곤 전남도 농식품유통과장은 “공공비축미곡 출하농가에서는 규격 포장재를 사용하고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수분 함량 13.0∼15.0%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시군별 매입 품종 이외 다른 품종을 부정하게 출하하다 적발될 경우 다음년도 공공비축미곡 매입 대상 농가에서 제외된다”고 말했다.


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