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재 사망 근로자비율 OECD 국가중 '최고'

10만명당 20명… "산재 예방 정책수립 시급"

SetSectionName(); 산재 사망 근로자비율 OECD 국가중 '최고' 10만명당 20명… "산재 예방 정책수립 시급" 서민우기자 ingaghi@sed.co.kr

우리나라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근로자 비율이 사실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OECD 국가의 산업재해 비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말 현재 한국의 산업재해 사고사망 10만인율(10만명당 사망률)은 20.99명으로 21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국제노동기구(ILO)의 노동통계자료(LABORSTA)를 활용해 2006년 자료가 있는 OECD 21개국의 사고사망 10만인율을 비교했다. 한국에 이어 멕시코(10명), 포르투갈(6명), 캐나다(5.9명), 슬로바키아ㆍ이탈리아(5명), 폴란드(4.6명), 뉴질랜드(4.58명), 스페인(4.4명), 미국(4.01명) 등의 순이었다. 가장 낮은 국가는 0.7명을 기록한 영국이었으며 노르웨이(1.31명), 스위스(1.4명) 등도 사망률이 낮았다. 사망사고 10만인율의 연간 감소율 역시 우리나라는 2%에 불과해 덴마크(0.8%)나 캐나다(1.8%) 등과 함께 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율이 전년 대비 10% 이상인 국가는 호주ㆍ헝가리 등이었고 5% 이상인 국가는 오스트리아ㆍ스위스ㆍ프랑스ㆍ이탈리아ㆍ네덜란드ㆍ노르웨이ㆍ포르투갈ㆍ스웨덴ㆍ터키ㆍ영국 등이었다. 보고서는 "각국의 산재 통계 산출방법이 달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면서도 "이를 고려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사망재해 건수가 많고 산재 감소율이 낮다는 점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정책적 결단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