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G파워콤 고객정보 무단유출 확인

가입자 동의없이 제3자·비통신업종에게 제공…모럴해저드 심각


LG파워콤 고객정보 무단유출 확인 가입자 동의없이 제3자·비통신업종에게 제공…모럴해저드 심각 이규진 기자 sky@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LG파워콤이 자사 초고속인터넷(엑스피드) 가입자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 신상정보를 무단 유출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5일 LG파워콤 고위 관계자는 "개인정보 관리에 허술한 점이 있었다"며 "특히 (인터넷 설치를 위해 가정에 방문했을 때) 제3자 정보제공에 대한 동의를 본인이 아닌 가족들에게 받은 사례들이 일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같은 문제점 때문에 방송통신위원회의 제재가 있을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LG파워콤이 단순히 본인 사인(서명)을 가족에게 받은 것 외에 여러 형태의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업계 소식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LG파워콤이 가입자 정보를 금융사 등에 넘겨줬을 가능성이 높아 방통위가 이에 대한 조사를 한 것으로 안다"며 "통신도 아닌 전혀 별개의 업종에 고객정보를 건네줬다면 매우 심각한 위반 사항이자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방통위는 지난 7월 LG파워콤의 개인정보 관리실태에 대한 현장 조사를 벌였으며, 조만간 심의를 거쳐 제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방통위 주변에서는 LG파워콤의 제재 수위가 영업정지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LG파워콤은 그러나 지난 3개월여 동안 고객정보 유출이 없었다며 텔레마케팅을 중단하지 않고 오히려 현장영업을 강화해 논란을 빚어왔다. KT와 하나로텔레콤 등은 고객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제3자가 활용해온 고질적인 업계 관행을 끊기 위해 지난 5월 잇따라 텔레마케팅을 전격 중단했다. 아울러 양사는 고객정보 관리시스템을 개선하고 안전장치를 만드는 노력을 기울였다. 반면 LG파워콤은 이 틈을 노려 내부정비는 뒷전으로 한 채 초고속인터넷시장 뺏기에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들었다. 한편 LG파워콤은 이날 개인정보 침해 관련 고객민원에 대해 신속히 대응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는 방통위의 제재를 앞두고 처벌 강도를 약화시키기 위한 '꼼수' 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쟁사들이 고객정보 관리 혁신에 나서는 동안 조용히 있다가 이제 와서 신고센터를 만들고 이를 선전하는 것은 의도가 순수해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경쟁사들이 자숙하고 있는 동안 영업을 강화하는 등 상도의에 어긋난 행동을 하다가 제재를 앞두고 혁신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율 배반적인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LG파워콤 관계자는 "꾸준히 고객정보 관리를 강화시키는 작업을 해왔다"며 "조직개편을 계기로 신고센터를 출범시킨 것 일뿐"이라고 해명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