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BOJ "중앙銀 독립성 존중해야"

시라카와 총재, 정부 인플레 목표치 제시에 반발


일본은행(BOJ)이 정부의 인플레 목표치 설정에 반발하며 중앙은행의 독립성 보장을 강조하고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9일 시라카와 마사아키(白川方明ㆍ사진) 일본은행 총재가 전날 "정부가 금융시장의 안정을 원한다면서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존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시라카와는 기자회견에서"통화 정책은 물가를 안정시키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것이 목표가 돼야 한다"면서 "정부가 이런 지침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래야 시장을 확신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간 나오토(管直人) 부총리 겸 재무상은"물가 안정을 위해 인플레를 최소한 1%에서 억제해야 한다"고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 일본은행을 자극하는 발언을 했다. BNP 파리바 증권 관계자는"인플레 목표치에 대한 (일본은행 총재의) 발언은 일본은행의 견해가 정부와 같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면서 "양측이 의기투합할지 여부는 다음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일본은행도 내부적으로 연간 인플레 목표치를 1~2%선에서 유지해왔다"면서 "따라서 정부와 입장이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은행은 이 날 기준금리인 무담보 콜론 금리를 현행 0.1%로 유지했다. 이날 일본은행은 일본 정부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국채 매입 확대 등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을 내놓지 않았다. 일본은행은 성명에서"디플레이션 우려가 일본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힘들 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면서"일본은행은 디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필요하다면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의 근원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12월 한해 전에 비해 1.3% 하락해 10개월째 떨어졌다. 더 폭넓게 물가 추이를 반영하는 GDP 디플레이터도 지난해 4분기 기록적으로 3% 하락함으로써 일본내 디플레 압박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엔 가치가 더 뛰고 이 때문에 디플레 심화가 우려될 경우 일본은행이 환 방어를 위해 금융시장에 자금을 더 공급하는 등의 시장 개입을 시행할 것으로 예측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