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시 안도랠리 넘어 '추세상승' 기대감 증폭

■ 코스피 3개월만에 1,800선 회복<br>1분기 기업실적 호조에 "1,850선도 가능" <br>"美경기침체·유가등 리스크 여전" 신중론도

서울 여의도 증권선물거래소 직원이 21일 코스피지수가 1,800선을 넘어서자 지수 그래프를 보며 밝은 표정을 짓고 있다./이호재기자

코스피지수 1,800선 탈환에 성공하면서 국내 증시의 추세 상승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21일 코스피지수가 1,800선을 넘어선 것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에도 불구하고 어닝 시즌을 맞아 미국과 국내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인이 3,400억원 넘는 순매수를 통해 지수상승을 이끌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전문가들은 ‘안도랠리’를 넘어 ‘추세 상승’을 맞을 것으로 예상, 지수의 단기 목표치를 1,850까지 끌어올렸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환율, 고유가가 상승장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란 목소리도 많다. ◇기업실적 호조가 금융시장 불안 가라앉혀=코스피지수가 지난 1월10일 이래 3개월10일 만에 다시 1,800선에 도달한 것은 ‘실적의 힘’이다. 국내 기업들의 경우 최근 1ㆍ4분기 실적발표 시즌을 맞아 우량한 성적표를 내놓고 있고 지난주 말 미국의 씨티그룹과 구글 등도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발표하면서 투자심리가 한층 개선되고 있다. 미국 기업들의 1ㆍ4분기 순이익을 보면 전분기에 비해 금융부문이 51억달러 흑자 전환했고 비금융 부문 역시 44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주 말에 발표된 씨티그룹과 구글 역시 긍정적인 실적을 내놓으며 투자심리를 개선시켰다. 국내 기업들도 이미 1ㆍ4분기 실적을 발표한 LG디스플레이ㆍLG전자ㆍ포스코 등이 사상 최대치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거나 시장의 전망치를 웃도는 ’어닝서프라이즈’를 보여주었다. 또 현대차(24일), 삼성전자(25일)도 좋은 성적표를 내놓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지수 상승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코스피지수가 1,800선에 오른 것은 일단 국내 기업들은 물론이고 특히 미국 기업들의 실적이 최악은 아니라는 ‘안도감’이 확산되면서 이뤄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추세 상승에 무게… 1,850포인트 기대감도=증시가 실적을 바탕으로 추세 상승을 굳힐 경우 1,850선까지는 어렵지 않게 갈 수 있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는 지수가 1월10일 이후 1,800대가 깨지면서 횡보세를 거듭하기 이전인 지난해 말 주가 지수대로 복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윤학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중국증시를 제외한 글로벌증시가 중기 상승추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코스피의 경우도 박스권 상향대인 1,800선을 돌파했기 때문에 1,850선까지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형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실질적인 저항선은 200일 장기 추세선인 1,830선”이라며 “지금 추세라면 1,850선까지도 가능하지만 그 이상은 근본적인 펀더멘털에 대한 개선이 있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미 경기 침체ㆍ환율ㆍ고유가 등 리스크 여전=우리 증시가 안도랠리를 넘어 추세 상승으로 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업의 실적을 넘어서 근본적으로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신호와 유가ㆍ환율 등이 전제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많다. 김중현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기업실적 결과가 단기 변동성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전체적인 방향성 변화를 점치기는 어렵다”며 “미국의 경기침체가 증시 상승세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구도는 쉽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율과 고유가 등도 복병으로 꼽힌다. 원화 약세가 수출주들에 국한돼서는 실적개선의 ‘약’으로 작용하겠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자매력에 ‘독’으로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외국인 투자가들 입장에서 원화 약세는 투자 자산의 가격을 하락시켜 국내 주식에 대한 매수 메리트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성진경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원자재 가격의 상승 기조하에서 원ㆍ달러 환율 상승은 소비자들의 구매력 약화를 가져와 우리나라 경제 펀더멘털 개선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환율 상승에 따른 실적 모멘텀이 강화될 전기전자ㆍ자동차 중심의 제한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