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파이낸셜 포커스] 금감원 vs 대부업 CB공개 갈등 2라운드

금융당국 "25일까지 공개" 최후통첩<br>업계 "정보파기 불사" 강경 의지 고수<br>대부업 고객 67%가 중복대출<br>저축은행 위한 무리수 지적도


금융감독 당국과 대부업체 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대부업계에 이달 말까지 CB(CB)를 온라인 방식으로 공개하라고 최근 최후통첩을 전달하면서부터다. CB 공개 절대 불가 입장을 외치며 당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던 대부업계가 지난 5월에 이어 다시 한 번 격랑에 휩싸일 조짐이다.

◇금감원의 최후통첩=1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대부업체의 CB를 관리하는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오는 25일까지 대부업 CB를 공개하라고 통보했다. 당초 금감원은 지난 5월 나이스에 대부업 전체 이용자인 127만명의 CB를 온라인 방식으로 공개하라는 개선권고안을 보냈다. 통상 금감원의 지시사항은 3개월 이내에 이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나이스는 15일까지 개선조치를 이행해야 했지만 대부업체들이 반발하며 CB 공개를 미뤄왔고 금감원이 다시 한 번 열흘의 시간을 연장해주며 최후의 데드라인을 통보한 셈이다.


기존에는 대부업 이용 고객들이 본인의 대출 정보조회를 요청할 때마다 '등기우편'으로만 받아볼 수 있었다. 대부업체 외에 타 금융기관에 CB가 공개될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CB 조회가 가능해지면 은행 창구서도 실시간 대부업 CB를 열람할 수 있다. 대출을 원하는 고객에게 '신용송부인증서비스 동의서'만 제출 받으면 은행이나 타 금융기관 직원들도 창구에서 즉시 해당 고객의 대부업 이용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균열생긴 나이스와 대부업계=CB 공개 여부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나이스는 금감원의 최후통첩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14일 대부업체 관계자들과 비상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지만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 있다. 나이스의 한 관계자는 "감독기관을 상대로 대립각을 세우는 것이 큰 부담"이라며 "버틸 재간이 없다"고 언급, 우회적으로 CB 공개 가능성을 드러냈다.


일부 대부업체들 사이에서도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연체정보만 공개하는 선에서 금융 당국과 협의를 진행해나가야 한다고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의견들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업계 전반에서는 당국이 CB 공개를 강행하면 CB 파기도 불사하겠다며 강경한 자세를 굽히지 않고 있다. 대부업 CB가 온라인 방식으로 공개되면 시중은행 등에 중복으로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대부업 이용자가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부터 퇴출당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4월 말 현재 대부업 이용자 중 은행이나 여전사ㆍ저축은행에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중복 대출자 숫자는 85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대부업 이용고객의 67%에 해당된다.

대부업체의 한 관계자는 "금융기관들이 대부업 이용 실적을 이유로 만기 연장을 거부하거나 한도를 축소한다면 대부업계도 곧바로 연쇄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축은행을 위한 무리수(?)=금감원이 업계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CB 공개를 강행할 태세를 취하자 그 배경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금감원은 대부업 이용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대출정부의 온라인 공개 방식을 결정하게 됐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대부금융협회에서 2,382명의 대부업 이용고객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3.97%는 CB의 온라인 공개를 반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저축은행 먹거리 확보를 위한 무리수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저축은행의 먹거리 확보를 위해서는 대부업 CB 공유가 불가피하다는 인식이다.

저축은행들은 최근 소액신용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려오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과 상당 부분 고객이 겹치는 대부업체의 CB를 확보하지 않는 한 리스크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했고 줄곧 당국에 대부업 CB 공유를 요구해왔다. 대부금융협회의 한 관계자는 "대부업은 제도권 금융사와 CB를 공유하지 않는 익명성을 강점으로 단기자금을 융통하려는 고객들이 이용하는 자금"이라며 "CB가 온라인 방식으로 공개되면 대부업계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