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재록 파문' 전방위 확산] 검찰 수사 어떻게

"정관계·금융권 로비가 몸통" 정조준<br>경영권 승계·인허가비리도 동시다발 수사<br>鄭씨 일가·고위 관료 줄소환 불가피할 듯


['김재록 파문' 전방위 확산] 검찰 수사 어떻게 "정관계·금융권 로비가 몸통" 정조준경영권 승계·인허가비리도 동시다발 수사鄭씨 일가·고위 관료 줄소환 불가피할 듯 이병관 기자 comeon@sed.co.kr 검찰의 '김재록 게이트' 수사가 동시다발적으로 전광석화처럼 진행되고 있다. 지난주 말 김재록씨의 단순 인허가 청탁 비리라고 일축하던 검찰의 태도가 27일 돌변했다. 김재록 구속→현대ㆍ기아차 본사 등 압수수색 및 글로비스 사장 체포→현대차 임원 등 10여명 출금조치 및 현대차 계열사 및 우리은행 관계자 소환 등으로 이어지는 숨가쁜 수사일정이 이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날 "비리 혐의자들의 도주 등을 우려해 수사 사항을 극비리에 부쳤다"며 "수사의 본류인 김씨 정관계 및 금융계 로비의혹에 대해 오늘부터 수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수사 보안상 발톱을 숨겨왔던 검찰이 자신들의 수사 방향과 속내를 드러낸 것도 주목된다. 정관계 및 금융계 로비가 수사 본류이며 수사과정에서 현대차그룹 비자금 및 각종 사업 인허가 비리가 터져나왔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세 갈래 수사 동시 진행=검찰수사는 세 갈래로 요약된다. 그 중 본류인 정관계 인허가 비리는 이날 우리은행 관계자 소환으로 시작됐으며 앞으로 김씨와 관계자들의 대질조사 등을 통해 금감위와 재경부 고위 관계자로 수사의 칼날을 좁혀갈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비스→김재록→고위 정관 및 금융계 인사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감안할 때 현대차 비자금 조성 및 용처 수사와 동시에 김씨의 정관계 로비의혹 수사가 맞물려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그 다음이 정몽구 현대차 회장에서 정의선 기아차 사장으로 이어지는 그룹 경영권 승계와 맞물려 있는 현대차 경영권 인계 부문이다. 이주은 글로비스 사장의 전격 체포로 시작된 이 부문 수사는 비자금 조성에 어떤 식으로든 오너 일가가 개입한 혐의나 단서가 포착될 경우 정 회장 일가 소환이 불가피하고 경영권 승계 구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어 현대차로서는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부문이다. 마지막이 현대사업 인허가 관련 비리다. 현대차그룹의 건설 계열사인 엠코가 시공을 맡은 현대ㆍ기아차 양재동 본사 옆의 연구개발센터 쌍둥이 건물과 현대제철의 충남 당진 제철소 건설 인허가 비리 등이 우선 거론되고 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김씨에게 건너간 글로비스 비자금 중 일부가 건축 인허가 청탁에 들어갔다"고 이미 밝힌 바 있다. 뒤집어 말하면 비자금 상당액이 건축 인허가 부문 외에 현대차그룹의 사업 확장 및 정의선 사장의 후계 구도를 그리기 위한 계열사 신설 및 통합작업에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정씨 일가 및 정부 고위관계자 줄소환 전망=수색ㆍ소환ㆍ출금 등 검찰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카드를 쓰며 강한 압박수사를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정몽구 회장 등 오너 일가와 재경 및 금융라인의 정부 고위관계자의 줄소환이 불가피해 보인다. 검사 10명이 세 분야로 나뉘어 가급적 속전속결로 이번 수사를 마무리한다는 게 검찰의 생각이다. 인허가 로비 부문은 이제부터 시작이지만 현대차 비자금 수사는 내부제보와 지난 1월부터의 첩보 조사로 인해 상당 부분 수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채 수사기획관은 이날 "글로비스 이 사장의 체포 혐의는 비자금 조성뿐 아니라 횡령 혐의가 드러났고 도주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는 이미 현대차그룹 비자금의 용처를 어느 정도 파악했으며 현대차 고위관계자 추가 소환 등을 통해 사실확인 단계에 들어갈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비자금 조성방법은 검찰이 이미 밝힌 상황. 글로비스가 협력업체 등을 통한 가장 및 부풀리기 거래를 통해 조성했고 오토넷도 이 같은 혐의를 갖고 있다고 검찰은 밝혔다. 이미 글로비스는 비자금 조성 확인단계를 넘어 김씨에게 수십억원을 건넨 것으로 검찰이 파악한 상태이며 이제 김씨로 넘어간 회사 비자금이 어떤 용도로 정관계 및 금융계 인사에 전달됐는지를 밝히는 절차가 남아 있는 셈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현대차 오너 일가가 지난 2000년대 초 신설하거나 계열사를 통합하면서 만들어진 글로비스나 현대오토넷 등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금융당국과 적지않은 조율이 필요했고 이에 맞춰 김씨를 통해 비자금을 살포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입력시간 : 2006/03/27 17:4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