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사기 스팸 기승 … 대응요령은

키워드 차단… 메일 선별 수신… 필터링 앱 설치

신용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고 이후 대출·도박·투자 정보라며 하루에도 스팸 문자와 메일이 폭증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스팸은 피싱 및 파밍, 스미싱 등 각종 금융 사기에 널리 악용될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관련기사



11일 금융감독원은 이메일과 휴대폰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스팸 메일 대응 요령에 대해 소개했다. 스팸 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때 '키워드 차단' '메일 수신 허용' 등 스팸 차단 기능을 설정해야 한다. 네이버는 '환경설정, 스팸설정', 다음은 '환경설정, 스팸제로 2.0'에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스팸 문자를 막기 위해서는 가입한 통신사가 무료로 제공하는 필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각 통신사가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가운데 '스팸 차단 서비스'에 가입해 스팸으로 의심되는 번호와 문자 내용 등을 등록하면 된다.

정부와 유관기관에서 개발해 배포하는 스팸 차단·신고용 스마트폰 앱을 설치해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 OS) 또는 앱스토어(iOS)에서 '후후' 'WhosCall(후스콜)' 등 스팸 차단용 앱을 검색해 설치하면 된다. 스팸 신고를 하고 싶은 경우 PC 환경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개발한 '스팸 간편 신고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신고전화 118로 가능하다. 불법스팸대응센터(http://spam.kisa.or.kr)로 접속해 신고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