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식약청 7월부터 단계적 전면개편 "美 FDA 조직처럼…"

본부·팀 중심 효율화 줄기세포 전담팀도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조직 시스템으로 바뀌는 등 전면적인 조직 개편이 단행된다. 본부와 팀을 중심으로 책임과 효율성을 강화되고 인원이 대폭 확충된다. 또 황우석 교수 등의 줄기세포 연구 전담팀이 만들어지는 등 생명공학(BT), 나노공학(NT), 정보기술(IT)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안전성 심사와 지원을 위한 세부적인 조직 체계가 갖춰지게 된다. 식약청은 식품ㆍ의약품의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기대욕구에 부응하고 첨단제품 개발이 가속화되는 등 급변하는 환경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식약청 조직혁신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식약청은 이 계획안에 대해 내달 중 행정자치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 7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그동안 기술행정(안전국)과 기술심사(평가관실) 조직이 양분되는 바람에 업무협조가 안돼 민원처리가 늦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FDA의 기능통합형센터 방식을 본떠 6개의 본부(본부장 2∼3급)로 통합ㆍ재편하기로 했다. 또 1명의 차장(1급)이 청의 모든 업무를 지휘ㆍ조정함에 따라 심도 있는 정책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복수 차장제를 도입, 1차장은 정책홍보관리본부, 식품본부, 영양기능식품본부 등 3개 본부를, 2차장은 의약품본부, 생물의약품본부, 의료기기본부 등 3개 본부를 각각 관장하게 된다. 본청 모든 부서가 78개의 팀(팀장 3∼5급)으로 세분하되 연공서열 위주의 경직된 조직구조를 개선하고 능력에 따라 적재적소에 인사가 가능하도록 5급 사무관 팀장 밑에 3급 부이사관이 배치될 수 있게 운영키로 했다. 이들 팀 가운데 BT 분야에서는 줄기세포 등 세포 분야를 전담하는 세포조직공학제제팀, 바이오칩을 담당하는 분자진단제제팀, 생명공학의약품, 생물의약품관리팀 등이 신설된다. 식약청은 BT 등 의약품의 허가ㆍ심사 지연과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75명, 안전관리 대상 증가에 따른 조직ㆍ인력 보강을 위해 97명 등 총 275명의 증원을 행자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식약청 관게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미국 FDA의 기능통합형 센터제 조직을 벤치마킹해 신속, 효율, 책임을 바탕으로 성과지향적 조직으로 재설계한 `한국형 본부제'"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