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맞춤형 재테크] 내년 결혼 앞둔 27세 직장인 포트폴리오는…

적립식 펀드 비중 늘려 종잣돈 마련 나서야<br>저금리 정기적금은 축소<br>기대 수익률 높이도록<br>연금저축·보험 등 가입<br>소득공제 稅테크 필수



Q: 올해 27살의 직장인입니다. 월급여는 210만원입니다. 매달 ▦정기적금 70만원 ▦적립식 펀드 20만원 ▦변액유니버셜종신보험 14만원 ▦저축보험 12만원 ▦운전자보험 1만원 ▦통신비 6만원 ▦생활비 28만원 ▦여윳돈 59만원 등을 쓰고 있습니다. 현재 갖고 있는 돈은 300만원입니다. 내년에 결혼할 생각입니다. 어떻게 준비할지 궁금하네요. 또 내년에 승진하면 급여가 10만원 가량 오를 예정인데 어떻게 투자할지도 궁금합니다. A: 20대 사회초년생인 경우 종잣돈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투자처를 찾았다 하더라도 투자할 자금이 없다면 ‘그림의 떡’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직장인의 경우 목돈이 갑자기 생기는 일도 매우 드문 일입니다. 현재 지출내역 등을 보면 수입을 잘 관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곳으로 새기 쉬운 소비항목도 잘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비교적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저축의 대부분을 확정금리 상품으로 운영하고 있는 점이 개선해야 할 문제로 보입니다. 적금처럼 금리가 정해져 있고 예금이 보장돼 있는 상품은 안전하지만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생애주기라는 관점에서 보면 지금은 앞으로 발생하게 될 목돈지출을 위해 종잣돈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더구나 내년에는 결혼이라는 인생의 큰 전환점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므로 목돈 준비의 필요성은 더욱 큽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확정금리형 상품의 투자비중을 늘리는 것은 재산을 증식시키기보다는 유지하기도 벅찬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금리를 적용 받는 정기적금의 비중을 다소 줄이고 적립식펀드의 비중을 확대하기 바랍니다. 지금보다 투자위험을 다소 부담하더라도 기대 수익률을 높이는 자산배분 재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집니다. 또하나 종잣돈 마련에서 중요한 것은 목표기간과 목표금액의 설정입니다. ‘5년 후에 1억원은 모아야지’ 또는 ‘은퇴할 때 10억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생각보다는 단기와 중기의 목표를 뚜렷이 정해야 합니다. 아울러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저축금액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월 약 73만원을 기대수익률 연 10%로 모아간다면 3년 후에 약 3,000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종잣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공격적으로 투자해 연 15%의 수익률을 기대한다면 73만원보다 8만원 가량 적은 매월 65만원이면 3년 후 3,000만원을 모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인 기간과 금액에 대한 설정이 되었다면 어떤 투자 상품군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지는 자연스럽게 결정되리라 생각됩니다. 직장인은 ‘세(稅)테크’의 노력도 함께 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연금보험은 새내기 직장인이 반드시 챙겨야 할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연간 400만원(월 33만원) 범위 안에서 불입액 전액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간 400만원의 저축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적게는 24만원부터 140만원까지 환급효과가 발생합니다. 현재 보유 중인 300만원은 투자위험을 고려해 원금이 보장되는 주가지수연계예금(ELD)이나 주가지수연계증권(ELS)에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 보기 바랍니다. 정기적금 70만원과 적립식펀드 20만원, 저축가능금액 59만원을 합해 매월 149만원을 월 투자가능금액이라고 했을 때 적립식펀드 100만원, 정기적금 29만원, 연금저축 연금보험 20만원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시 짜기를 권합니다. 적립식펀드는 국내와 해외투자비중을 6대 4로 하되 국내 상품은 인덱스펀드와 그룹주 펀드로 분산투자하고, 해외 상품은 G2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시장, 인플레이션 회피기능과 약 달러에 대비할 수 있는 원자재상품에 나눠 투자하는 자산배분안을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내년도 승진으로 10만원 정도 월 급여가 오른다면 연금저축이나 연금보험을 30만원으로 증액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득공제의 효과는 급여가 많아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승진으로 인해 급여가 인상된다면 연금저축 연금보험의 납입한도를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박승호 (국민은행 골드앤와이즈 방배 PB센터 팀장) ※실전재테크의 지상 상담을 원하는 독자께서는 ▦장단기 재테크 목표 ▦구체적인 자금 지출ㆍ저축 등 재테크 현황 ▦알고 싶은 금융상품 등을 구체적으로 적은 편지를 서울경제 금융부 e-메일(skdaily@hanmail.net)로 보내주세요.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