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세남자가 풀어놓은 '생명' 보따리

'나의 생명이야기' 효형출판사펴냄<br>황우석·최재천교수 과학 수필에 김병종 교수 그림곁들여<br>자연·인간·과학을 주제로 '따로 똑 같은' 이야기 엮어내



우리나라 자연과학분야의 대표 과학자인 황우석, 최재천 교수와 화가인 김병종 교수가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하늘의 명을 알았다는 지천명(知天命)의 나이를 갓 넘은 53년생 동갑내기에 가난한 시골 출신의 촌놈들이다. 그리고 세 사람 모두 서울대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교수들이다. 책의 주제는 ‘생명’이다. 세계 최초로 인간 체세포 복제 유래 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한 황우석 교수와 사회생물학자 최재천 교수의 과학 수필집에 ‘바보 예수’ 등 생명을 주제로 그린 김병종 교수의 그림들이 삽화로 곁들여져 있다. 김병종 교수는 서문에서 “유년의 자연체험으로 생명이라는 주제를 평생 잡고 있었다는 점이 우리의 공통점”이라며 “하지만 야전 지휘관을 연상케 하는 황교수의 열정과 곤충에서도 휴먼드라마를 느끼는 최교수의 감성은 같은 주제이지만 그 무게와 울림은 사뭇 다르다”고 말했다. 황교수는 어릴 때 소의 눈망울을 보면서 인생의 화두를 ‘소’로 정할 만큼 소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다. 그는 고등학교 선생님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당시 비 인기 학과였던 수의학과를 자진해서 입학해 동물의 체세포 복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황교수는 자신의 학창시절과 생명공학분야의 연구실적 그리고 난치병환자의 생명의 빛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 연구의 미래 등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세계적인 과학자가 된 황교수의 성공 비결은 하늘을 놀라게 할 만큼의 성실과 근면과 끈기에 있다. 책에서는 그의 겸손과 검소한 인생철학 그리고 후배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글에 묻어있다. 최교수는 고향 강릉에서의 어린시절 추억과 가시고기가 인생의 항로를 생물학자로 결정하게 한 계기였다. 최교수의 생명 이야기는 과학과 사회의 연결고리를 놓지 않고 있다. 그는 9.11 테러, 교토의정서 등 인간들이 저지르는 실수를 통해 자멸하는 인간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죽음이 민족해방을 위한 것이라며 수백의 애꿎은 목숨을 이끌고 지옥의 벼랑으로 뛰어드는 모습에서 자멸하는 인간을 보았다”며 “교토의정서를 일방적으로 파기하는 등 최근 미국이 보인 가진 자의 추한 횡포가 9.11 사건과 결코 무관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 사이에 들어있는 김병종 교수의 작품도 생명에 관한 그림들로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준다. 특히 어린시절 추억이 묻어있는 연작 ‘생명의 노래’(1998~2002), 파랑새(1993), 어무 수무 인무(2003) 등 간결한 그림들은 두 과학자가 이야기 하는 생명에 대한 가치를 되새길 수 있어 읽는 재미를 더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