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휴대폰업계에 '차이완 주의보'

고급형은 대만, 보급형은 중국 업체들 약진

한국 휴대폰 업계에 ‘차이완 주의보’가 발령됐다. 세계최대 이동통신 사업자인 차이나모바일이 중국을 넘어 해외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해외 이동통신사업자에 대한 인수합병(M&A)과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 등을 통해 한국 업체를 제치고 아시아 시장은 물론 세계 통신시장의 맹주로 부상하겠다는 목표다. 17일 외신에 따르면 왕 지안주 차이나모바일 회장은 “해외 M&A 기회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차이나모바일은 홍콩, 파키스탄, 대만 기업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차이나모바일은 또 중국 3세대 이동통신 독자 표준인 ‘시분할 연동 코드분할다중접속(TD-SCDMA)’이 사용될 1,000위안(16만원) 이하의 보급형 스마트폰을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한국산 휴대폰은 고가 프리미엄 시장에서 HTC 등 대만업체, 저가ㆍ신흥시장에서 ZTE, 화웨이 등 중국 업체에 의해 견제를 받기 시작했다. 대만의 HTC가 최근 출시한 최신 안드로이드폰 ‘디자이어’의 경우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 LG전자와 치열한 공방전이 예상되고 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1~3위를 기록하고 있는 노키아, 림, 애플 모두 자체 스마트폰 운영체제(OS)를 구축하고 있지만 자체 OS가 없는 삼성전자, LG전자로서는 HTC와 안드로이폰 분야에서 공방전이 불가피하다. 피터 추 HTC 대표는 이미 “2~3년 안에 세계3위 스마트폰 업체로 부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칫 삼성전자, LG전자가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HTC는 그 동안 한국 내 스마트폰 판매량이 모델당 1만대 수준에 불과했지만, 디자이어를 계기로 한국 시장점유율 확대의 기회로 삼고 있다. 세계시장은 물론 한국시장까지 노리는 것이다. 세계 휴대폰 판매시장에서 6~7위권을 기록중인 중국의 ZTE와 화웨이는 빅5 진입을 호심탐탐 노리고 있다. 저가 시장인 인도에서는 화웨이가 휴대폰은 물론 와이브로 등 IT 전반에서 삼성전자 등과 일전을 벌일 태세다. ZTE는 올해 빅5에 오르고 수 년 안에 빅3로 올라서겠다는 야심을 드러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