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대통령 訪日의미

김대통령 訪日의미韓日공조 공고화 세일즈외교 함께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일본으로 세일즈 외교에 나섰다. 특히 金대통령은 22~24일 방일을 계기로 앞으로 2년반안에 일본자금 70억달러규모를 우리나라 부품·소재산업분야 등으로 유치하겠다는 포부다. 金대통령은 또 「공식 실무 방문」이라는 외교 형식과 한·일간 정치·경제 협력의 공고화라는 실질적내용이 조화를 이루는 정상외교를 펼칠 예정이다. 모리 요시로(森喜朗) 일본 총리와의 아타미(熱海) 온천 정상회담은 96년 제주회담, 97년 벳푸(別府) 회담과 마찬가지로 「노 타이」차림의 격의없는 회담이 될 것이다. 외교 당국자들은 그러나 논의 내용은 국빈방문보다 더 무게가 나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우선 한·일 양측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급진전되고 있는 한반도 정세와 관련, 한·일 공조, 북·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에 뜻을 같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진일보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정치분야에서는 재일(在日) 한국인의 지방참정권 문제가 최대 관심사다. 金대통령은 최근 일본 연립3당 간사장을 접견한 자리에서도 재일 한국인의 특수성을 감안, 지방참정권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한 바 있으며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모리 총리에게 이를 요구할 예정이어서 일본측이 어떤 반응이 주목된다. 특히 金대통령은 이번 방일중 일본자본의 대한(對韓)투자 유치에 큰 비중을 둘 것이다. 이에 따라 金대통령의 내실있는 「세일즈 외교」성과에 관심이 쏠리고있다. 고유가, 증시 불안, 대우차 문제 등 국내 경제상황이 꼬여있는 시점에서 이번 金 대통령 방일의 최우선 관심사는 양국간 경협문제이기때문이다. 金대통령은 22일 일본 경제인 초청 만찬 등을 통해 대한 투자확대를 요청할 계획이며, 일본측으로부터 앞으로 2년반동안 주로 부품·소재 산업분야에 7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잠정적 약속도 받아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金대통령의 세일즈 외교를 지원하기위해 우리 경제 단체장 5명과 부품소재 투자설명회 참가기업·단체 대표 17명, 벤처전략 포럼 참가기업 대표 10명, 유관단체 책임자 9명, 지방자치단체장 4명 등 모두 45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청와대 이기호(李起浩)경제수석은 일본의 대한(對韓)투자 유치와 관련, 『이럴 경우 金대통령 임기중 일본으로부터 100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는 셈이며 부품·소재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는 대일무역적자의 근원적 해결 방안이 될 수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李수석은 이어 『한·일 양국간 미래지향적 경제협력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한·일 투자협정(BIT)을 연내 체결하고 한·일 지식정보산업 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정보기술(IT) 협력 이니셔티브」선언도 채택될 것』덧붙였다. 이밖에 제3차 서울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 오는 11월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회의와 「ASEAN(동남아국가연합)+3」회의 등에서의 양국간 긴밀한 협조태세 확인도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중 하나다. 한편 金대통령은 정상회담과는 별도로 이번 방일에서 「문화외교」에도 각별한 관심을 표시할 것이다./ 황인선기자HIS@SED.CO.KR 입력시간 2000/09/21 18:19 ◀ 이전화면

관련기사



황인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