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운 빼는 대통령 회견

노무현 대통령이 28일 유쾌하지 못한 사안으로 기자회견을 했다. 자신과 친형의 재산을 둘러싼 의혹을 해명(또는 변명)하는 자리였다. 가뜩이나 낙이 없는 국민들은 기운이 쑥 빠진다. 경제ㆍ북핵 등 각종 현안이 산적한 이 때 왜 대통령과 그 가족의 재산에 대한 의혹이 불거지고 대통령은 이에 대해 설명하지 않으면 안됐을까. 그 발단은 지난 대선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거중반 상대후보에 대한 폭로와 비방전이 한창일 때다.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이 노 대통령 일가 재산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민주당은 김 의원을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회손 혐의로 고발했다. 대선이 끝난 후 양당은 화해 차원에서 대선당시 고소고발을 일괄 취하 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유독 김 의원의 건평씨 관련 폭로에 대해서만 소를 취하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최근 검찰이 김 의원에 대한 기소를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에 김 의원은 자위(自衛) 차원에서 추가자료를 수집해 제시하면서 반격에 나섰고 일은 커지고 말았다.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 민주당의 대응으로 의혹제기 당사자인 김 의원은 브레이크 고장난 기관차가 돼 버렸고 의혹은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 될 것임이 분명하다. 노 대통령으로서는 고육지책(苦肉之策)이었을 이날 회견도 이도 저도 아닌 `이벤트`가 되고 말았다. 기왕 회견을 하기로 했다면 철저한 자기 성찰과 함께 구체적인 자료를 준비해 임해야 했다. 그러나 알맹이 없는 설명과 책임 전가로 도리어 상대편에게 반격의 여지만 주고 말았다. 이날 회견 직후 김 의원은 `노 대통령 해명 문제점`이라는 자료를 내고 “근본 문제인 비리와 거짓말 의혹에 대한 해명이 없어 새로운 의혹만 증폭시켰다”며 10여가지나 되는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청와대의 위기관리 능력 부재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참여정부 출범 100일을 며칠 앞둔 지금, 레임덕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올 만큼 만신창이가 됐다. 민심의 이반 현상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비온 뒤에 땅이 더 굳어 진다고 한다. 이번 일이 노 대통령에게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고 국정에 전념할 수 있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으면 하는 기대를 해 본다. <임동석기자(정치부) freud@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