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車 빅3, 한숨 돌렸지만 아직도 산 넘어 산"

■ 美재무부, 車 '빅3' 자금지원 시사<br>파산막기 위한 임시 자금 그쳐

미국 재무부가 파산위기에 처한 제너럴모터스(GM) 등 자동차 빅3를 위해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벼랑 끝으로 내몰린 빅3가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그러나 자금지원이 이뤄진다고 해도 빅3가 파산위기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4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 재무부가 구상하고 있는 빅3 자금지원은 단기 브릿지론 형태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즉 빅3를 완전히 살리기 위한 구제금융이 아니라 차기 의회가 개원하는 오는 2009년 1월6일, 그리고 차기 정부인 오바마 행정부 출범 전까지 파산만은 막아보자는 임시적 성격의 단기자금 지원인 셈이다. 빅3에 대한 지원법안이 상원에서 부결된 후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금융기관 부실자산구제계획(TARP) 자금으로 마련된 7,000억달러 가운데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빅3에 대한 자금지원이 이뤄진다 해도 현 정부가 집행 가능한 TARP 자금 내에서 소규모로 이뤄질 것이며 추가 지원은 차기 의회 및 행정부에서 처리하라는 메시지인 셈이다. 임기 말 레임덕에 빠진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빅3 파산이라는 재앙을 어떻게 해서든지 피해보자는 님비 현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주 말 릭 웨고너 GM 회장은 헨리 폴슨 재무장관, 조수아 볼튼 백악관 비서실장 등과 전화 통화를 갖고 정부의 단기유동성 지원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일단 차기 의회 개원일인 다음달 6일까지 최소한의 단기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일단 TARP로 빅3의 생명 줄을 연장한 다음 의회가 개원하면 수정된 지원법안을 통과시킨다는 구상이다. 재무부는 총 7,000억달러의 TARP 가운데 1차 집행분 3,500억달러 중 금융회사 지원에 3,350억달러를 쓰고 현재 150억달러가 남아 있다. 한편 GM은 지원법안이 부결된 다음날인 북미 지역 자동차 공장 21개 폐쇄 방침을 발표하는 등 생존을 위한 본격적인 감산체제에 들어갔다. GM은 전체 생산능력의 30%의 가동을 중단해 내년 1ㆍ4분기 북미 지역 자동차 생산 규모를 기존보다 25만대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