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시중은행 임원인사 시즌만 되면 `젊은 피`의 수혈이 화제로 떠오르곤 했다. 특히 학자출신이나 외국금융회사 또는 다른 업종 출신을 영입하는 `깜짝 인사`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유행`은 이제 끝물이다. 이미 쓸만한 사람들은 상당 수 은행권에 들어왔고 몇 년간의 `실험`은 긍정ㆍ부정의 평가로 갈라져 최근에는 `영입`이나 `발탁`을 환영하는 분위기가 많이 가셨기 때문이다.
실제로 LG투신운용 사장을 했던 이강원 외환은행장, 학자출신인 이덕훈 우리은행장과 전광우 우리금융부회장, 내부 발탁의 대표주자 홍석주 조흥은행장 등 기관장급 현역들이 은행권에 다수 포진해 있지만 평가는 엇갈린다. `합리적` `개혁적`이라는 긍정론과 함께 `장악력이 떨어진다`거나 `추진력이 약하다` 는 얘기도 있다.
특히 씨티은행 출신이 경영진을 장악한 한미은행의 사례는 논란의 대상이다. 하영구 행장이 데려온 젊은 임원들은 은행 안팎에서 `차분히 은행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칭찬과 `기존 조직에 섞이지 못하고 겉돈다`는 비난을 동시에 듣고 있다. 나이 많은 간부들의 상실감이 과연 개혁효과로 상쇄될 수 있겠느냐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금융권에서 스카우트된 국민은행의 P 부행장은 결국 실적부진으로 지난 2월초 물러났다. 비슷한 외부영입 실패 사례들이 다른 은행에도 널려 있다.
이러한 경험들이 최근 은행권의 인사 풍토를 조금씩 바꿔놓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도 `파격`이 능사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금융감독위원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외환위기 이후 은행장 감을 외국은행에서 찾고 젊은 간부를 임원으로 발탁하도록 유도하는 추세였지만 지금은 정부도 시각이 다소 달라졌다”고 말했다.
올해 임원 인사에는 이러한 분위기가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한 시중은행장은 “`전시 효과` 또는 `충격 요법`을 위한 무리한 발탁이나 스카우트 대신 팀워크와 실적을 중시하는 인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그런 측면에서 지난해 요란한 발탁인사 대신 내부 신망이 두텁고 실적도 좋은 고참부장들만을 임원으로 대거 승진시킨 수출입은행의 인사를 눈여겨 볼 만 하다. 이영회 수출입은행장은 당시 “ `유행`과 동떨어진 인사를 하다 보니 오히려 더 힘든 점이 많다”고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잡음과 시행착오가 없는 인사가 됐다. 국책은행의 특수성 때문이라고 제쳐놓을 일 만은 아닌 것 같다.
<성화용기자 shy@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