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퀘백주, 영문웹사이트는 안돼

퀘백주, 영문웹사이트는 안돼웹 사이트에 프랑스어판을 필수적으로 포함시키라는 캐나다 퀘백주 정책에 대한 영어사용자들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캐나다로부터 독립을 주장하며 프랑스어를 영어와 함께 공영어로 사용하고 있는 퀘백주는 2년전부터 비즈니스 웹사이트의 경우 영문으로만 만들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퀘백주에서 인터넷으로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는 프랑스어 사이트를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며 영어는 선택 사항이다. 법이 제정된 후 대부분의 영어사용자들이 프랑스사이트를 추가했지만 일부는 퀘백주의 정책이 부당하며 정부에 강력 저항하고 있는 상황이다. 소규모 소호 비즈니스 운영자인 마이클 수시는 이들중 한 사람이다. 영문만으로된 웹사이트를 가지고 있던 그는 최근 퀘백 정부로부터 프랑스어 웹사이트를 조속히 추가하라는 경고장을 받았다. 프랑스어를 모르는 그는 자신의 사업이 영어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이므로 프랑스어 웹사이트는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그는 정부의 부당한 정책은 바뀌여야 한다는 주장을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강력히 펼치고 있다. 정부의 인터넷 정책에 대한 반발하고 있는 사람은 그뿐만 아니다. 몬트리올에서 개업하고 있는 브렌트 타일러변호사도 이같은 퀘백주정부의 정책을 『세계화 시대의 희극』이라고 비난하며 같은 문제에 맞딱뜨린 영세 비즈니스맨들을 돕고 있다. 시민운동단체를 운용하고 있는 키키 칼로미리스의 경우는 정부에게 강한 항의서를 최근 직접 보냈다. 그녀는 인터넷이 그 자체로서 세계적인 것이기 때문에 영어 인터넷, 그리스 인터넷, 프랑스 인터넷이란 구분은 넌센스라며 정부 정책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쏟아지는 반발에도 불구, 퀘백정부의 입장은 강경하다. 퀘벡정부는 캐나다 다른지역의 인터넷 접속인구가 26%인 것에 반해 퀘백주는 17% 밖에 되지 않는 이유는 프랑스어로 된 웹사이트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현재의 정책을 밀고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퀘백 정부는 현재까지는 영문만을 가지고 있는 웹사이트 운용자에게 경고장만을 보냈지만 앞으로는 사법적 조치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이들 양편의 대립은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다. 장순욱기자SWCHANG@SED.CO.KR 입력시간 2000/07/20 20:11 ◀ 이전화면

관련기사



장순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