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포스트 교토의정서' 의견 접근

中·印 등 온실가스 중기 삭감목표에 美수용 방침

오는 7월7일부터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도야코(洞爺湖)에서 열리는 선진 8개국(G8) 정상회담을 앞두고 최대 관심사인 포스트 교토의정서와 관련, 주요 국들의 의견 접근이 나타나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26일 교도통신ㆍ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주요 언론은 온실가스 대량 배출국인 16개국 정상이 정상회의 마지막 날 ‘기후 변화 주요국 회의(MEM)’를 통해 채택하게 될 수뇌 선언안 전문 등을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교도통신은 2013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대책을 담은 포스트 교토 협약과 관련, 외교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미국이 개발도상국인 중국과 인도 등이 내놓은 중기 배출량 증가 억제 움직임을 받아들여 의무적인 삭감 목표 설정에 응할 방침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미국은 중기 삭감 목표 설정과 관련, 중국과 인도 양국 등 개발도상국도 참여해야 한다며 선진국이 먼저 삭감 의무를 지는 안에 난색을 표시했었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의 억제 수락방침을 미국이 일정 부분 평가하면서 온실가스 삭감 목표 설정을 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요미우리신문도 2030년까지 실시되는 온실가스 삭감 중기 목표에 대해 중국과 인도가 처음으로 적극적인 자세를 나타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정상 선언문 전문을 공개하며 선진국의 중기 감축 목표로는 ‘나라 별로 목표를 내걸고 배출 삭감을 달성해 나간다’는 문구가 채택되며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는 ‘기술이나 자금의 지원하에 각국이 삭감을 위한 적절한 행동을 추구한다’는 문구와 ‘현재 가스배출 전망으로부터 배출량의 억제를 달성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주요 배출국은 모두 포스트 쿄토 체제에 참여해야 한다는 개최국 일본의 주장이 ‘선진국은 삭감, 개발 도상국은 억제’식의 형태로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게 일본 언론의 평가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포스트 교토에 관한 정상회담의 합의 문서에 구체적인 삭감 목표를 설정할 것을 희망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수치는 유엔의 기후변화당사국회의(COP) 등에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AP통신은 이날 전 미국 환경부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 “미국 정부는 기후온난화 문제를 차기 정부로 이양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 정상회의에서 별다른 진전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되풀이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