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테러 다음목표는 사이버공간

USA투데이 가능성보도… 美 '사이버안보국' 추진9.11 미 테러대참사 이후 테러리스트들의 다음 목표는 미국의 사이버 공간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대부분의 국가시설망이 해커의 공격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사이버 테러리즘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버 안보국(Cyber-security office)'을 신설할 예정이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는 9.11 테러 사건이후 테러리스트들이 사이버 공간을 공격할 가능성이 높다고 9일 보도했다. 미국의 통신, 경제, 정부기관, 안보 시스템 등 대부분의 국가시설망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어 한번 공격을 당하면 국가 전체가 마비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다트머스 대학 안보기술연구소 소장인 마이클 배티스는 지난 달 의회에 출석해 "네러조직들이 (해킹)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또 지금까지 미국 연방수사국(FBI), 중앙정보국(CIA), 국가안보국(NSA)의 네트워크를 공격했던 해커들이 국제 테러리스트들이었거나 아니면 이들이 테러 조직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컴퓨터 해킹 등 사이버 테러리즘을 막기 위해 '사이버 안보국(Cyber- security office)'을 신설할 예정이라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9일 보도했다. 신문은 부시 행정부가 강도 높은 대(對) 사이버 테러전 수행을 위해 1,000만달러를 투입할 것임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미국의 한 행정부 관리는 "사이버 공간은 우리의 다음 전장(戰場)"이라며 "부시 대통령은 사이버 테러에 철저히 대비할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리들은 부시 대통령이 사이버안보 담당 대통령특별보좌관에 국가안보회의(NSC)의 안보ㆍ기간시설보호ㆍ대테러계획 조정관인 리처드 클라크를 임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웨인 다우닝 예비역 육군장성이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과 '대테러전 전국책임자'로 임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모두 8일 공식 취임한 톰 리지 초대 조국안보국장 밑에서 일하게 된다. 노희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