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직장인들 가장 매력적인 '재테크'는 부동산

직장인들은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동산투자를 가장 매력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년 정도의 중기는 물론 1년의 단기도 부동산 투자를 하겠다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7대도시 직장인 700명을 대상으로 재테크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직장인들은 1년간 투자할 경우 ▦부동산(48.4%) ▦예금 및 적금(35.0%) ▦주식ㆍ채권투자(7.6%) ▦보험(5.1%) 순으로 유망하다고 답했다. 또 5년간 투자할 경우에도 전체 응답자의 65%가 부동산 투자를 가장 매력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다. 특히 대전 지역 직장인들의 경우 74.5%가 단기 재테크 수단으로 부동산이 제일 유망하다고 답해 신행정수도 이전 계획에 따른 충청권의 ‘부동산 붐’을 보여줬다. 직장인들의 재테크 목적으로는 노후자금 마련이 43.2%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본인결혼자금 마련(20.0%) ▦내집 마련(16.9%) ▦자녀 교육 및 결혼자금 준비(14.5%)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20대는 본인 결혼자금, 30대는 내집 마련, 40대는 노후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재테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들이 기대하는 은퇴 후 노후자금 규모는 평균 3억6,500만원, 미혼 직장인이 생각하는 결혼자금은 평균 4,300만원으로 나타났다. 또 내집마련 자금은 평균 1억4,500만원이었으며, 서울(1억8,500만원)이 나머지 지역 평균(1억1,700만원)의 1.5배 수준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직장인들은 평균 월수입의 30.1%를 재테크에 투자하고 재테크를 위한 최소 종자돈은 평균 8,423만원이었다. 직장인들의 재테크 성적은 ‘이익도 손해도 보지 않았다’는 응답이 63.0%로 가장 많았고 주식과 부동산 둘 다 투자한 경우 전체 응답자 10명중 8명이 주식보다는 부동산 투자수익률이 높다고 답했다. 상의 관계자는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과 금융시장의 균형 발전을 위해 부동산 중심으로 짜여진 가계자산 구성을 다각화하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