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시모집 전형명칭 6가지로 간소화

학생부 중심·입학사정관 등 비중있는 요소로 부제 기재

올해 대학 수시모집 전형명칭이 6가지로 간소화된다.

교육부는 오는 9월 시작되는 2014학년도 대입 수시모집과 관련 '수시모집 전형명칭에 대한 부제설정 기준'을 확정해 지난 주 각 대학에 전달했다고 2일 밝혔다.


대학은 자체적으로 정한 전형 명칭에 교육부가 마련한 부제를 달아 오는 7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제출해야 한다.

교육부 방안에 따르면 부제는 비중있게 반영하는 전형요소에서 이름을 따 ▦학생부 중심 ▦입학사정관(학생부 중심) ▦논술 중심 ▦실기ㆍ적성(특기)ㆍ면접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 실기ㆍ적성(특기)ㆍ면접은 다시 ▦실기 중심 ▦적성(특기) 중심 ▦면접 중심으로 세분화돼 실제로는 6가지가 된다. 전형요소가 두 가지 이상이면 반영 비율이 높은 것이 부제가 된다. 교육부는 전형요소의 반영비율이 비슷한 경우 대학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어느 하나의 부제로 분류한 뒤 해당 부제를 선정한 사유를 쓰게 했다.


특히 논술 등 대학별고사가 전형요소에 포함되는 경우 대학별고사의 반영비율이 높지 않더라도 대학별 고사의 비중을 충분히 고려해 부제를 정하도록 했다. 예컨대 상위권 대학 인기학과에서 학생부 60%와 논술 40%가 전형요소일 때, 지원자 대부분이 1등급이라면 당락이 논술에서 갈릴 수 있으므로 이때는 실제 비중을 고려해 부제를 '학생부 중심'이 아니라 '논술 중심'으로 기재하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투스청솔이 대교협 사이트에 공시된 2014학년도 전국 215개 대학의 모집전형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시모집 전형유형이 1,846개에 달한다. 또 정시 1,037개까지 더하면 전체 대입전형 유형은 2,883개로 늘어난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