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銀 재무건전성 79국중 70위

무디스 'D-' 평가 말聯·인도에도 뒤져국내 은행의 재무건전성 등급이 'D-'로 개발도상국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따라 은행의 신용등급이 투자적격으로 올라서고 경기상승에 따라 지난해에만 5조원의 이익을 냈지만 여전히 대손충당금 적립을 게을리한 데 따른 것이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미국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지난 20일 한미 및 하나은행의 재무건전성 등급을 'D-'에서 'D'로 상향 조정했으나 국내 은행의 가중평균등급을 여전히 'D-'로 평가했다. 이는 평가대상 79개국 가운데 70위로 ▲ 필리핀(64위) ▲ 일본(66위) ▲ 타이(69위) ▲ 러시아(72위) ▲ 중국(73위) ▲ 인도네시아(77위) ▲ 아르헨티나(79위)와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 네덜란드(1위) ▲ 영국(2위) ▲ 미국(4위) ▲ 싱가포르(9위) ▲ 홍콩(17위) 등은 상위권에 올라 있고 ▲ 멕시코(38위) ▲ 타이완(41위) ▲ 말레이시아(51위) ▲ 인도(56위) 등도 우리보다 재무건전성 등급이 앞섰다. 재무건전성 등급(Financial Strength Rating)은 정부의 자금지원 가능성을 배제할 경우 장래 손실발생 에 대비해 어느 정도 자기자금을 확보하고 있는지, 장래 수익구조가 건실한지를 측정하는 등급이다. 무디스가 등급을 평가한 국내 12개 은행 중에서는 기업ㆍ산업은행이 E로 가장 낮았고 ▲ E+등급은 조흥ㆍ대구ㆍ우리ㆍ외환ㆍ부산ㆍ서울은행 ▲ D등급은 하나ㆍ한미은행 ▲ D+등급은 국민ㆍ신한은행 등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미국 은행들이 부실채권에 대해 평균 132%의 대손충당금을 쌓는 반면 국내 은행은 불과 76.1%에 그치고 있다"며 "은행들의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상향 조정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진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