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직접매각' 선회, 투명성확보·조기처분 겨냥

'직접매각' 선회, 투명성확보·조기처분 겨냥현대가 「채권단 인수후 매각」에서 「직접 매각」으로 방향을 틀면서 정주영(鄭周永)전 명예회장이 내놓은 자동차 지분 6.1%의 향배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는 직접 원매자를 찾아나선 이유로 채권단과의 협상결렬을 들고 있다. 각 채권기관 마다 차액보전 및 매매조건이 천차만별이어서 매각방식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것이 현대측 설명이다. 아울러 일각에서 채권단과의 「이면계약」설까지 나돌자매각과정의 투명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아예 직접 매각을 택했다는 것이다. 현대는 이 지분을 국내외 기관투자가와 펀드에 분산 매각할 방침이다. 특정개인이나 기관이 「독점」하기에는 물량이 클 뿐더러 조기 매각을 위해서는 분산매각이 최적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현 MK(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 체제에 영향을 주지 않겠다는 메시지도 포함돼 있다고 현대 관계자는 전했다. 현대는 나아가 발등의 불인 자동차 조기 계열분리를 위해 매각도 최단시간내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 고위 관계자는 『주간사인 증권쪽이 단 이틀내에 매각이 가능하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계열분리도 금주내 매듭지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대자동차는 물론 정부와 채권단 일각에서 의혹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지난 14일 대국민 약속과 배치되는 듯한 모양새를 주는 데다 매수자가 누구냐에 따라 계열분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매각대상으로 지목된 「국내외 기관과 펀드」의 성격이 불분명해 향후 어떤 목적으로 변화할지 모른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채권단에서 지분매각 대상에 MK도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된시점에서 직접 매각이 결정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같은 시각에 대해 현대측은 몹시 억울하다는 표정이다. 현대 관계자는 『매각의 형태는 다르지만 내용은 같다』며 『지분매각에 한 점의 의혹도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대내부에서는 드러내놓고 말하지는 못하지만 鄭 전 명예회장의 지분을 궁극적으로 「공익」목적으로 활용한다는 원칙이 서있다는 인상이 짙다. 현대 관계자는 『지분의 용처는 철저히 정 전명예회장의 「명예」를 위해 쓰여질 것』이라며 『그런 맥락에서 매각과정도 투명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현대 내부의 분위기가 지난 3∼5월 경영권 분쟁 당시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게 주변의 관측이다. MK체제의 자동차 구도를 「현실」로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여서 鄭 전 명예회장의 지분에 「다른 뜻」을 가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현대주변에서는 현대의 이번 직접 매각이 또 다른 「불씨」를 잉태할 것으로 보는 시각은 그리 많지 않다. 연성주기자SJYON@SED.CO.KR 입력시간 2000/08/20 19:28 ◀ 이전화면

관련기사



연성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