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정규직 해고요건 완화 논의 출발부터 혼란스럽다

정규직의 해고요건을 완화하는 문제를 둘러싼 혼선이 확대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4일 경제정책국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추진 방침을 밝혔다가 파문이 커지자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도 이튿날 해고를 쉽게 하기보다는 임금체계를 바꾸는 방법 등을 활용해 정규직을 개혁할 필요가 있다며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업무성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해고요건 완화 방안 등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신축성이 큰 임금·근로시간 등 유연화부터 추진하고 해고 유연화는 마지막 수순이 돼야 한다"라며 또 다른 차원에서 논란에 가세했다. 김 위원장의 말마따나 정부 내에서 이 문제에 대해 긴밀한 협의가 이뤄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주무부처도 아닌 기재부가 여론몰이식으로 화두를 던지면 불협화음만 키울 수 있다.

관련기사



정규직에 대한 과보호는 분명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폭발력이 커 이를 핵심 해결과제로 내세울 경우 정부 정책 전반에 대한 반발심만 키울 수 있다. 노사정 간에 합의 가능한 유연성 제고방안들까지 진전을 못 보게 발목을 잡는 블랙홀이 되기 쉽다.

물론 감원·해고요건을 완화하면 노동시장 유연화에 도움이 될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도 엄밀히 따지자면 임금·근로시간 등 다양한 유연화 수단 가운데 일부일 뿐이다. 통상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정년연장 등 노사정 간 핵심 쟁점들은 모두 임금체계와 연관돼 있다는 공통점을 가졌다. 해고요건 완화를 어느 정도의 우선순위에 둘 것인가에 대해 경총·전경련과 대한상의 등 사용자단체마다 목소리가 다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부 부처 간 불협화음이 표출되지 않게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노사정위에서 사회적 대타협이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게 낫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