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 하청업체 "여전히 슬퍼요"

대기업·중기 상생 분위기 불구 경영악화 이유 '고통전담' 강요<br>"부당요구등 불공정 관계개선 위해 정부 획기적 대책 마련 서둘러야"

뜨거워지는 대ㆍ중소기업 상생 분위기속에서도 이른바 협력업체들의 고통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청업체인 여러 대기업이 경영여건 악화 등을 이유로 중소 하청업체에게 ▦납품단가 인하 ▦손실 떠넘기기를 통한 ‘고통전담’을 강요하는 것은 물론 하청업체 통제를 위해 ▦갑자기 거래 끊기 ▦기업홍보 막기 등을 암암리에 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업계는 이와 관련, 정부가 대-중소하청업체의 불공정 관계 개선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납품단가 인하 가장 빈번= 수도권지역 공단의 휴대폰 부품 제조업체 B사 L사장은 지난 2월 일명 단가 후려치기 요구로 상당한 손해를 감수해야 했다. 납품을 받은 S전자가 계약과 달리 대금을 깎자고 요구, 거절했지만 결제를 차일피일 미루는 탓에 어쩔 수 없이 10%를 깎아주었다. 역시 수도권지역 공단에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K사장. 지난 2004년 A자동차의 납품계약 건에 최저가를 제시해 수주업체로 선정됐었으나 2년 넘게 거래를 못하다 최근에야 납품을 하고 있다. 이유는 당시 A사가 제시한 최저가에서 추가 인하를 요구, 이를 거절했었기 때문. K사장은 “협상이라기 보다는 사실상 강요에 가까웠다”며 “하지만 사업을 위해 그 요구를 수용해야만 했고 올해도 그래야 할 형편”이라고 토로했다. 김성섭 중기청 기업협력과장은 “사실 1차 하청업체에 대한 납품단가 인하는 결국 2차, 3차 하청업체로 이어지는 연쇄 작용으로 이어져 결국 영세 하청업체가 모든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게 현실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손해 떠넘기기, 괘씸죄 적용 등 다양= S통신사에 단말기를 공급하는 반월공단 소재 C사. 올 1월 2,000대의 단말기 납품 건을 전화상으로 구두계약 했다 낭패를 봤다. 막상 납품하려는 데 S사가 내부정책상 납품을 받을 수 없다는 것. S통신사가 지급보증도 해주지 않아 모든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 회사 P사장은 “계약 파기에 대해 소송을 내고 싶지만 일을 크게 벌리면 자칫 주요 거래처가 끊길 수 있어 손해를 보는 게 최선”이라며 하소연했다. 시화공단 소재 건설업체 E사 H사장은 매번 수주 때마다 선심성 추가 공사를 진행한다. H 사장은 “다음 수주를 위한 일종의 보험으로 담당부서 간부의 개인공사를 몰래 해준다”며 “물론 공사비 청구는 없다”고 귀뜸했다. 인근단지에 위치한 굴삭기 제조업체 F사는 지난달에 거래처인 H중공업로부터 무조건 회사 홍보를 전혀 하지 말라는 부탁을 받았다. 이 회사 N사장은 “올초 선보인 신제품 중 상당 부분이 우리의 기술력이 적용돼 이런 사실이 공개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장윤성 기협중앙회 산업기술혁신팀 과장은 “대기업이 부당한 요구를 해오면 이를 거절할 경우 손해가 더 크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며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