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호 메시지' 대화국면 조성될듯

■ 남북장관급 회담 전망반테러선언 채택 가능성 15일부터 서울 올림피아 호텔에서 개최되는 제5차 남북 장관급회담에 대한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북측이 미국의 테러사태 파장으로 북ㆍ미, 남ㆍ북관계가 후퇴하는 것을 막기위해 우호적인 메시지의 하나로 이번 장관급회담에 적극적으로 응해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은 장관급회담 개최를 이틀 앞둔 13일 이례적으로 "(장관급회담에) 모든 성의와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또 전날에는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미국 테러사태와 관련 "테러반대" 기자회견을 가져 국제적인 '반테러' 흐름에도 동참하는 신속함을 보였다. 북한은 미국내 테러사태 파장이 자칫 '테러지원국' 오명을 쓰고 있는 자국까지 확산되는 것을 막기위해 대화국면을 적극 조성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북미관계가 아직 불투명한 점을 감안할 때 이번 회담에서 많은 성과는 내기 힘들 것"이라며 섣부른 낙관을 경계했다. 결국 이번 장관급회담은 북한의 태도변화를 가늠하고 남북관계 개선의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 뭘 논의하나 이번 남북 장관급회담에서는 남북이 공동으로 '반테러 선언'을 채택하는 문제가 우선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 남북 장관급회담의 정례화에 남북이 재합의할 가능성이 높다. 홍순영 신임 통일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담에서 장관급회담의 정기적인 개최 합의를 첫번째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측도 내부사정이 어느 정도 정리된 만큼 장관급회담의 정례화 제안을 강하게 거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남북은 경의선 도로ㆍ철도의 비무장지대(DMZ) 공사착수 합의서 교환에도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일본의 대북 쌀 50만톤 지원이 연내 마무리됨에 따라 쌀 등 대북지원안을 우리측이 제시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와 관련 김형기 차관은 최근 통일부 국정감사 답변에서 "북한의 경제난이 심각한 만큼 경제적 지원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홍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